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the case when a district with a high development possibility is set up as a regulation region. Initial assumption is that there would be regulation resistance in and around the regulation region. Pyeongchang is taken as a study areas, performing necessary analysis of environment regulation and regulation resistance based upon spatial analysis with the use of GIS. The research proceeding steps are as follows. After examining Pyeongchang present environment regulation state, environment regulation map is constructed, and classification of Pyeongchang's relatively development possibility level map is made. Using this regulation map and development possibility level map, relative regulation resistance level is measured. The results that the rates of Pyeongchang environment regulation region in its present state was higher than Namhan river basin's regulation region rates. Also, overlapping a high development possibility level region with an environment regulation region, the analysis results give reasons to expect high level of regulation resistance in Doam-myeon and Jinbu-myeon in small town units. The analysis of Pyeongchang new buildings locations with regard to environment regulation showed intensive distribution in the regulation region with high development possibility level and adjacent areas (about 66% of new buildings are distributed within 500m range from regulation region). Such results show that the local administration and existing environment regulation policy, not capable of offering direct benefit to the population, are having immanent problems in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nected with it environment harm causation.
이 연구는 개발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규제지역과 규제지역의 주변으로 규제저항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분석은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평창을 연구지역으로 하였다. 평창의 환경관련 규제현황을 조사하여 환경규제지도를 제작하고, 평창지역 전체의 상대적 개발 가능성 정도를 등급화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규제지도와 개발가능성등급도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규제저항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창의 환경관련 규제 비율은 남한강 유역권 전체의 규제 비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과 환경 규제지역을 중첩하여 분석한 결과 읍면단위에서는 도암면과 진부면의 규제저항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평창의 신규건물(1999년 $\sim$ 2005년) 입지와 환경규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발가능성 등급이 높고 규제지역과 인접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신규건물의 약 66%가 규제지역으로부터 500m 이내 지역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방정부와 주민에게 직접적인 이익을 제공하지 못하는 규제권역 설정 위주의 환경정책은 난 개발과 그에 따른 환경파괴라는 내재된 문제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