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아고산 초지대 나지의 확대속도와 침식작용

Rates and Processes of Bare Patch Denudation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 Kim, Tae-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12.31

초록

한라산 아고산대의 초지박리에 관여하는 침식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표고 1,710m와 1,600m 지점에 출현하는 나지를 대상으로 지형특성과 확대속도를 조사하였다. 나지는 가장자리에 단애가 출현하므로 와지형태를 이룬다. 단애의 높이는 최고 85cm부터 단차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단애 최상부는 앞쪽으로 $2\sim38cm$ 정도 튀어나와 있으며, 많이 돌출한 최상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아래쪽으로 드리워져 단애를 가리게 된다. 나지 표면은 중력과 대력 크기의 각력으로 덮여 있으며 암괴도 산재한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 발생한 단애의 평균후퇴량은 39.2mm로서 연간 19.6mm의 후퇴량을 기록하였다. 계측지점별로 후퇴량을 비교하면 최고치와 최소치는 각각 131mm와 0mm로서 차이가 크다. 단애 후퇴량은 계절에 따라서도 달라져 4월의 융해진행기에 가장 크고 10월, 11월의 동결진행기와 6월, 7월의 장마기에도 큰 편이다. 나지확대에는 동결작용을 비롯하여 취식, 우세, 우적침식 및 동물작용 등 다양한 유형의 침식작용이 관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우세나 취식과 결합된 서릿발작용은 한라산 아고산대의 100일 이상으로 추정되는 동결융해 교대일, 융설, 강풍환경 등을 고려할 때 가장 탁월한 침식작용이다. 한라산은 국내 최다우지이므로 릴침식과 같은 우세도 간과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적침식은 단애 위쪽에 출현하는 식생 돌출부로 인하여 미약하다 최근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노루도 나지확대에 영향을 주고 있다.

Rates and processes of bare patch denudation were observed at Janggumokoreum(1,710m) and Minoruem(1,600m) in order to clarify some characteristics of turf exfoliation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The bare patches have marginal terrace fronts with a maximum height of 85 cm. The terrace risers usually develop an overhanging edge 2 to 38 cm long that eventually hangs down and protects the riser beneath. The patches are largely covered with angular pebbles and cobbles. The mean rate of riser retreat for the period 2002-2004 is 39.2 mm, equivalent to 19.6 mm/yr. However, there is a disparity of the rate of riser retreat at individual sites. The maximum rate is 131 mm measured at Janggumokoreum patch while the minimum rate is 0 mm at Minoreum patch. The rate of riser retreat also varies with seasons. The thawing season of April exhibits a maximum rate of retreat. The freezing season of October and November and the rainy season of June and July show relatively high rates of retreat. Several Processes such as frost action, aeolian deflation, rainwash, rainsplash and fauna activity cause the denudation of bare patches. In particular, the needle ire action which is combined with rainwash or deflation plays a primary role in turf exfoliation due to the diurnal freeze-thaw cycles occurred over 100 days, melted snow and strong wind in the subalpine zone of Mt. Halla. Rainwash is also an important contributing process in the rainy season because Mt. Halla has the highest precipitation in Korea. By contrast, rainsplash erosion has a minor effect on the bare patch denudation due to the overhanging edge of terrace risers. Recent increase in roe deer appears to be responsible for turf destru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군, 2000, 한라산 고산식물의 생태생리학적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고정군, 2002, '한라산의 아고산대의 훼손지복구 및 식생 복원,' 한라산연구소 조사연구보고서, 1, 1-27
  3. 공우석, 1999,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대한지리학회지, 34, 385-393
  4. 권혁재, 1999, 지형학, 법문사, 서울
  5. 김문홍, 1985, '한라산의 식생 개관,'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41-45, 제주도
  6. 김찬수.김문홍, 1985, '한라산 아고산대 초원 및 관목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311-330, 제주도
  7. 김태호, 2001, '한라산 백록담 화구저의 유상구조토,' 대한지리학회지, 36, 233-246
  8. 김태호, 2002, '한라산 아고산대의 초지 박리현상,' 한국지형학회지, 9, 71-81
  9. 오장근.신용만, 2002, '한라산 노루의 분포 특성,' 한라산연구소 조사연구보고서, 1, 101-113
  10. 임양재.백광수.이남주, 1991, 한라산의 식생, 중앙대학교출판부
  11. 제주도, 2000a, 한라산 기초조사 및 보호관리계획수립
  12. 제주도, 2000b, 서귀포.하효리도폭 지질보고서
  13. 제주도, 2000c, 자연친화적인 한라산 삭도설치 타당성조사
  14.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1997, 한라산정상보호계획
  15. 多田文男, 1974, '芝地の剝離-周氷河現像として,' 東北地理, 26, 118
  16. 福井幸太郞.小泉武榮, 2001, '大曾駒岳高山帶での風食ノッチの後退とパッチ狀裸地の擴大,' 地學雜誌, 110, 355-361 https://doi.org/10.5026/jgeography.110.3_355
  17. 刈谷愛彦.佐佐木明彦.鈴木啓助, 1997, '月山の强風砂礫斜面における通年氣象觀測と地形形成環境, 地理學論評, 70A, 676-692
  18. 玉生志郞, 1990, '韓國濟州道の火山岩のK-Ar年代とその層序的解釋', 日本地質調査所月報, 41, 527-537
  19. 原田經子.小泉武榮, 1997, '三國山脈.平標山におけるパッチ狀裸地の形成プロセ スと侵食速度,' 李刊地理學, 49, 1-14
  20. 町田貞.井口正男.貝塚爽平.佐藤正.榧根勇.小野有五, 1981, 地形學事典, 二宮書店
  21. Arnalds, O., 2000, The Icelandic 'rofabard' soil erosion feature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5, 17-28 https://doi.org/10.1002/(SICI)1096-9837(200001)25:1<17::AID-ESP33>3.0.CO;2-M
  22. Grab, S. W., 2002, Turf exfoliation in the High Drakensberg, southern Africa, Geografiska Annaler, 84A, 39-50
  23. Hastenrath, S. and Wilkinson, J., 1973, A contribution to the periglacial morphology of Lesotho, southern Africa, Biuletyn Peryglacjalny, 22, 157-165
  24. Kim, D. J., 1967, Die dreidimensionale Verteilung der Strukturboden auf Island in ihrerklimatichen Abhangigkeit, Diss. Bonn, Math. Nat. Fak., 227S
  25. King, R. B., 1971, Vegetation destruction in the sub-alpine and alpine zones of the Cairngorm Mountains, Scottish Geographical Magazine, 87, 103-115 https://doi.org/10.1080/00369227108736185
  26. Perez, F. L., 1992, Processes of turf exfoliation(Rasenabschalung) in the high Venezuelan Andes, Zeit fur Geomorpbologie, N.F., Suppl. Bd., 36, 81-106
  27. Rost, K. T., 1999, Observations on deforestation and alpine turf destruction in the central Wutai Mountains, Shanxi Province, China,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19, 31-40 https://doi.org/10.2307/3674111
  28. Sapper, K., 1915, Rasenabschalung, Geographische Zeitschrift, 21, 105-109
  29. Troll, C., 1973, Rasenabschalung(Turf Exfoliation) als periglaziales Phanomen der subpolaren Zonen und der Hochgebirge, Zeit fur Geomorphologie, N.F., Suppl. Bd., 17, 1-32
  30. Watanabe, T., 1994, Soil erosion on yak-grazing steps in the Langtang Himal, Nepal,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14, 171-179 https://doi.org/10.2307/3673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