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tical Study on the Flexible Interior Space of Apartments according to Unit Plan Types - Focusing on Apartment Built Since 1998 -

단위평면의 형태요인에 따른 내부공간 가변화에 관한 분석 - 1998년 이후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Apartments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type of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since the 1960s. The dwelling space should be designed to accomodate various life styles or changing needs of family member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analyze flexible interior space types of apartments and to improve the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of apartments that can satisfy various needs of residents. In this study, apartments of 10 - 90 pyeongs built in the region of Seoul, between 1998 and 2007, a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unit plan, the number of open sides, and a distribution of flexible apartment types for each year, Apartments with flexible space are classified into 10 different types, including a flexible type between bedrooms, a flexible type between a bedroom and the livingroom, and a flexible type between the dinning room and the livingroom.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unit plans, apartments are also differentiated as a single-corridor type, a double-corridor type, a stairway type, a hall type, and a combination type. According to these classific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desirable unit pla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s the unit size of apartments get bigger, the ratio of width/depth of the front side unit plan is increased. This result reflects a trend of high-rise apartments which have an increased number of front-side bays and a shorter depth for better penetration of daylight. In addition, a hall type is found to have a wider front side and shorter depth. According to open sides, a flexible type of the livingroom and the dinning room/kitchen (L-D.K) is found to be most common for the front/back open space, and the livingroom is usually placed on the front/side open space.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residents,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flexible dwelling space.

Keywords

References

  1. H. 다일만, J.C 킷센맨, H. 파이퍼 공저, 현대집합주택의 구성, 기문당, 1977
  2. N.J. Habraken,Variation Laboratory of Architecture and Planing at MIT Press, 1976
  3. 아파트백과, 서울특별시 상권(강남편), 세진기획, 2006
  4. 아파트백과, 서울특별시 하권(강북편), 세진기획, 2006
  5. 김수암, 공동주택의 가변형 주호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 박사 학위논문, 1992
  6. 문봉주, 탑상형 주거의 개방성 확보를 위한 계획 경향, 서울대 석사논 문, 2004
  7. 조효숙, 공동주택 단위주거공간의 공간적 전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40평형대 이상 아파트의 선호도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 석 사 학위논문, 2005
  8. 이보라,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공동주택의 가변형 평면계획에 따른 연 구, 전북대 석사논문, 2002
  9. 김수암, 오픈하우징의 이론과 실무, 한국건설 기술연구원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서울 : 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10. 김진균 외 1명, 융통성을 고려한 소규모 라멘조 아파트의 평면 모델계 획, 대한건축학회 18권 12호(통권 170호) 2002. 12
  11. 황은경 외 5인, 공동주택의 공간 가변성 향상을 위한 서포트계획 방법 연구, 2005. 4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권 4호
  12. 日本의 Flexible Housing -住宅, 都市整備公團및 大阪府住宅供給公 社의 試圖를 중심으로, 1988, 대한주택공사
  13. 정세라. 한국건설기술원 연구보고서, 1998년
  14. 모정현.이연숙, 지속가능한 주거 개발을 위한 가변성 개념의 유형학적 분석. 한국생태환경 건축학회 논문집 3권 3호(통권9호), 2003년 9월
  15. 심우갑.이정우.여상진, 국내 아파트 단지에 적용된 탑상형 주거 동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90년대 중반 이후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권 10호 2001년 10월
  16. 김용선.김수암.서붕교, 사용자참가형 공동주택의 거주 후 평가에 관 한 연구 -당산 강변 시범 아파트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1998년 10월
  17. 신중진.서기영.허지연.김홍룡.김창수, 최근 초고층 아파트의 단위 세대 평면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18권 8호(통권 166 호), 2002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