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of Limesilicate Cavities by 3-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한 석회규산염암의 공동탐지

  • Park, Sam-Gyu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Kim, Chang-Ryol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Son, Jeong-Sul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Kim, Jung-Ho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Yi, Myeong-Jong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Cho, Seong-Jun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김창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손정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김정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이명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조성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Published : 2006.10.30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3-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detect underground cavities within ground subsidence area at the field test site, located at Yongweol-ri, Muan-gun in Korea. Underground cavities are widely present within the limesilicate bedrock overlain by the alluvial deposits in the area of the test site where the ground subsidences have occurred in the past. The limesilicate cavities are mostly filled with groundwater and clays in the test site. Thus, cavities have low electrical resistivity compared to the surrounding host bedrock.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the zones of low resistivity correspond to the zones of the cavities identified in the boreholes at the test site, and that the 3-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very effective to detect underground cavities.

본 연구는 석회규산염암 공동에 의한 지반침하 지역에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로부터 지하공동의 영상화를 시도했다. 조사지역은 무안군 용월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적층 하부에 석회규산염암이 분포하고 있는 곳이다. 이 지역의 지질특성은 충적층 하부 석회규산염암의 용식작용에 의한 돌리네와 파쇄대를 따라 공동이 발달되어 있으며 과거 여러 차례 돌리네의 함몰에 의한 지반침하가 발생하였다. 조사지에 실시한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로부터 지하공동이 분포하고 있는 곳은 주변의 기반암에 비하여 전기비저항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석회규산염암 공동에 지하수와 점토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임을 알았다.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로부터 저비저항 분포 영역을 중심으로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고, 전기비저항이 50ohm-m 이하를 지하공동으로 가정하여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로부터 석회규산염암 공동을 영상화 하였다. 이것을 시추조사에서 공동이 발견된 위치와 비교한 결과 양자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석회규산염암에 발달되어 있는 지하공동 탐지에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석원, 이희광(2004) 국내지반침하 조사 및 보강사례, 지반침하 조사, 설계, 시공에 관한 심포지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2-21
  2. 김정호 외 20인 (2001)무안 성남 주거지 지반침하지역 1차 물리탐사 및 암반공학 조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농업기반공사 전남지사, p. 305
  3. 김정호 외 16인 (2004) 무안 성남 주거지 지반침하지역 3차 물리탐사 및 암반공학 조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농업기반공사 전남도본부 p.245
  4. 황재하, 최범영, 김복철, 기원서, 송교영 (2000) 무안 지질도폭 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58
  5. Dourado, J.C., Filho, W. M., Braga, A. C. O., and Nava, N. (2001) Detection of cavities in sandstone using gravity, resistivity and GPR methods, Brazilian Journal of Geophysics, v. 19, p. 19-32
  6. Kim, J.-H., Cho, S.-J., and Yi, M.-J.(2004), Borehole radar survey to explore limestone ca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a highway bridge, Exploration Geophysics (Bulletin of the Australian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 v. 35, p. 80-87 https://doi.org/10.1071/EG04080
  7. Mark, H. D., and Eric R. (1999) Two-dimensional resistivity profiling; geophysical weapon of choice in karst terrain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Hydrogeology and engineering geology of sinkholes and karst, Balkema, Rotterdam, p. 219-224
  8. Roth, M.J.S., Mackey J.R., Mackey, C., and Nyquist, J.E. (1999) A case study of the reliability of multi-electrode earth resistivity testing for geotechnical investigations in karst terrains, Hydrogeology and engineering geology of sinkholes and karst, Balkema, Rotterdam, p. 247-252
  9. Yuhr, L., Bension, R.C., and Butler, D. (1993) Characterization of karst features using electromagnetics and microgravity: a strategic approach,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he Application of Geophysics to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San Diego, California, USA, p. 209-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