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hoes' Easy-Order Prototype According to Foot Types of Juveniles In On-Line 3D Virtual Reality

청소년의 발의 형태 분류에 따른 On-line 3D 가상현실에서의 신발류 이지오더 Prototype 개발

  • 최성원 (동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학과) ;
  • 임지영 (동명대학교 디자인대학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6.11.01

Abstract

Consumers can choose suitable shoes for their feet in off-line shopping. However, in on-line shopping, because they can not wear shoes, compare to the off-line shopping, there are many problems in internet shopping. And the solution of user-oriented internet shopping is development of new type of prototype which is accessible to user and to offer visual information through 3D-virtual reality. We made this Prototype that the consumer can measure their own shoes size. And the consumer can print out their foot size in the internet database and measure their own foot size and type. And we maximized the visual experience though it is indirect and then we wanted to overcome a emotional experience in the real world. we visualized first, 'the softness' of shoes meterial, second 'the drainage' in the realtion of shoes meterial and water, third 'the close adhesion' in the realtion of shoes and consumer's their own foot and last 'the elasticity' in the relation of the shoes outer sole and surfa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solve the problem in the existing on-line shoes' shop and it will become an alternative plan. And this prototype just will not become the localization at the on-line shoes' shop. In true sense, it will be an important example in the whole internet industry.

오프라인 상점에서의 신발 구매는 소비자가 직접 신발을 착용해 봄으로써 어느 정도 자신의 발에 맞는 신발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의 경우에 소비자들은 구매과정에서에 신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받지 못하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쇼핑에 대한 해결 방안은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프로토타입의 개발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계측을 통한 발 형태 분류 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착용감이 좋은 신발류를 구매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으며 그 내용은 디자인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View를 마우스 조작으로 세부적인 디자인 및 형태를 살펴 볼 수 있도록 설계 하였고, 착용성의 경우 신발 사이즈에 대한 평면도를 인터넷 상에서 Print하여 기성 신발에 대한 자신의 발 치수를 직접 잴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능성은 현실세계에서 체득 되어지는 것이지만 이러한 감성적인 것을 온라인상에서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신발에 대해서 소재에서 오는 신발의 '유연성', 소재와 물과의 관계를 시각화한 '방수성', 신발과 소비자 발과의 밀착성 정도를 시각화한 '착용성', 신발의 밑창이 지면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충격 흡수를 시각화한 '탄력성' 이렇게 네가지의 기능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