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 Revisited

구조적 차원성 탐색을 통한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재발견: 최성재의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imensional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identified theoretical constructs of the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LSSE)', which was developed by Choi, Sung-Jae in 1986. Data was obtained from 'The survey of health and welfare status of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in Chung-Choo city'. The subjects were 275 elderly. Results showed that LSSE had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with three theoretical constructs. Each theoretical construct was named as 'positive affect and subjective satisfaction', 'negative self image and affect', and 'self-value'. Three theoretical constructs had high level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internal construct. 'Positive affect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nd 'negative self image and affect' showed high level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elf-value' had a high level of convergent validity but acceptable level of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oretical dimensionality of LSSE between this study and Choi's study, which explained the dimensionality of LSSE as a single dimension.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regarding theoretical dimensionality supported findings from existing studies which insisted that life satisfaction had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본 연구는 구조적 차원성 탐색을 통한 최성재의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재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주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7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는 세 개의 이론적 구인으로 구성된 다차원 구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규명된 구인은 '긍정적 정서와 주관적 만족감', '부정적 자아상과 부정적 정서', 그리고 '자기 가치'로 명명되었다. 세 구인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내적 구조에 근거한 타당도' 또한 모두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긍정적 정서와 주관적 만족감' 그리고 '부정적 자아상과 부정적 정서'는 수렴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가치'는 높은 수렴 타당도를 보인 반면 판별 타당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를 단일 차원 구조로 제시한 개발자의 견해와 달리 '노인생활 만족도 척도'의 다차원 구조를 검증함으로써 다수의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끝으로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구조적 차원성이 개발자의 연구와 본 연구에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