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il Reaction (pH) of Culture Soil on the Growth of Sedum kamtschaticum in Pot Cultivation

토양반응(pH)이 분화재배 기린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유동림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이현숙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남춘우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김수정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서종택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Published : 2006.08.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proper culture soil for the flowerpot cultivation of Sedum kamtschaticum. Peatmoss was used for the culture soil. pH of the culture soils were adjusted to 4.5, 5.0, 5.5 and 6.0 using calcium hydroxide. Young plants of Sedum kamtschaticum were planted in the pots of 10cm in diame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the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3 replications. Growt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t intervals of 30 days after planting. As the pH of culture soil is lower, growth of Sedum kamtschaticum showed longer plant height and more number of leaves and branches. pH 4.5 to 5.0 appeared to be optimum range as soil reaction of Sedum kamtschaticum cultivation.

기린초의 토양 pH별 생육특성을 보면 pH가 낮을수록 생육초기부터 후기까지 초장, 엽수, 분지수 등의 생육이 좋았으며 특히 초장과 분지수에서는 pH처리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기린초 재배시에는 토양 pH를 $4.5{\sim}5.0$정도로 맞추어 주는 것이 pH 6.0보다 초기 활착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며 균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정학. 1999. 한국 자생 둥근잎꿩의비름(Sedum rotundifolium)의 분포와 생육환경 및 자생지에서의 형태적 특성 조사. 원예과학기술지 17(4): 501-503
  2. 김승현, 이종석, 1992, 제주도 한라산 말나리의 자생지 생육환경에 관한 연구,한국화훼연구회지 1(1): 37-46
  3. 김원배, 최관순, 김병현, 김정간, 김정기, 김종화, 유기억, 이우철, 임학태. 1996.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의 생리생태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37(4): 561-557
  4. Lee, T. B. 1985.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 co. pp.200 김치선, 김정만,김희준, 류정, 최영근, 박종민, 박학봉. 2001. 변산반도 내 팥꽃나무 군락의 서식환경 및 생육실태. 원예과학기술지 19(2): 103
  5. 유수쥰, 이정식, 유봉식, 정순진. 2003. 왜철쭉, 황철쭉, 철쭉꽃나무의 간이담배수 저면관수시스템에서 pH 조건별 생장반응. 원예과학기술지 21(1): 82
  6. 이정식, 홍영표, 이기의, 소인섭, 이종석, 조진태, 정순주, 나상욱. 1989. 자생철쭉과도입철쭉의종간교배를통한기초연구II. 자생분포지토양환경조사 및 광합성 능력조사. 한국원예학회지 30(1): 75-85)
  7. 이종석, 소인섭, 강훈. 1996. 완도유향춘란자생지의특성에관하여. 한국화훼연구회지 5(1): 15-20
  8. 박인현, 김지수, 유성오, 박윤점. 1986. 야생석산(Lycoris radiata HERB.)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