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과미디어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제10권1호
- /
- Pages.85-98
- /
- 2005
- /
- 2383-9708(pISSN)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영상애니메이션 연구
초록
모든 것이 영상화되는 현상에 대해 그동안 Text 내에서의 단일한 이성구조만을 연구했던 인문학자들 간에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 왔다. 특히 기호학자들의 이러한 연구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는데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 비롯하여 소쉬르(Saussure), 퍼스(peirce) 등의 학자들의 논의는 주목할 만 하다. 에코는 중세미학에서 현대 기호학에 이르는 그의 철학적 관심을 기반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 등 미학 일반과 텔레비젼과 만화 등 대중 예술 분야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기호학에서 논의되는 기표와 기의간의 쌍방향적 열린 관계를 현대 예술의 개방성과 모호성에 연관짓고 있으며, 관습으로부터의 일탈로 보면서 대중 영상 매차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였다. 소쉬르는 기호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분법적 기호학, 예컨대 기표/기의, 형태/본질, 랑그/빠롤, 공시적/통시적 등 이분법적으로 기호와 기호학의 특성을 설명하고, 퍼스의 삼분법적 기호학(기호를 기호sign, 대상referent, 해석체interpretant의 삼각 체계로 설명하는 이론)은 기호와 대상, 이 둘을 연결하는 해석체라는 새로운 항을 삽입시킴으로써 기호에 시간을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영상물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접근과 분석을 위해 애니메이션 영상 이미지를 기호학적 틀 안에서 분석하려고 한다. 필름(film)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물에 대해 그저 문학적이고 인상주의적인 가치판단에 의존한 과거에 비해, 기호학의 도래로, 관객을 흡입하는 영상물들의 불가해한 힘을 체계적인 기호로 분석하는, 상징적 과정과 사회적 맥락을 연계시키는 일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애니메 이션을 비롯한 모든 영상물들을 단순한 미학적 예술이 아닌 사회 관습과 제도로 받아들여 인간과 세계를 옳바르게 이해하는 데 일조하고 영상의 신비화를 지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글과 그림의 결합으로 출발한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만화 속에 내재한 만화만의 상징(Icon)으로 사람이나 사물, 장소, 혹은 생각까지 모든 이미지들을 형상화시키며 기호화한다.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유기적 생물체의 복잡하고 미묘한 속성을 단순하고 절묘하게 개념화시키면서, 언어 이상으로 상징체계를 무한히 확장시킨다. 하지만, 대중을 유혹하는 신비주의와 조작 기재로 이용될 수 있고, 정치 권력과 대중 매체의 거대한 힘과 맞물려 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왜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애니메이션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위해 기호학에 근거해서, 비 언어적 만화표현도 일정한 언어적 표현 방법과 유사하게 중층적으로 기호들이 얽혀 부가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의 유상적 영상 이미지들도 사회적 약호들로 이루어져 있어, 언어체계에 근거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out the phenomenon of being imaged of everything, the scholars of the humanities who had studied on the simple reason structure in a text have been in a big agony how accept it. Especially, semiologists have studied about this for a long time and the points at issues of Saussure, Peirce as well as Umbeto Eco are more outstanding. Being based upon his philosophic interesting from medieval esthetics to modern semiotics, Eco was very concerned about the field of general esthetics and poputar arts like television and cartoons. He connected the mutual open-relations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debated in Semiotics with the open and vague modern arts and regarding it as a deviation from the custom, intensively studied the film-media. Saussure is a representative figure of semiotics and explained Sign and the character of semiotics as the division into two parts such as signifier/ signified, form/ substance, langue/ parole, synchrony/ diachrony. The triadic semiotics (the theory that Sign is composed of the triadic structure like sign, referent and interpretant) of Peirce put the new item- 'interpretant' in sign and referent to connect them and open the possibility to introduce time in to the Sign.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a cartoon film in the semiotic structure with the systemic, reasonable and logical approach and analysis as as possible. While the images shown through a film were depended on the romantic and impressional judge in the past, due to semiotics, it' s quite possible to correlate the procedure of symbolization to social coherence so that we analyze the incredible power of images to suck audiences with the systemetic Sign. I accept all ot film-images including a cartoon film as not the simple esthetic arts but a social custom and system, want to serve as a aid to properly understand world and humanbeings and prevent the film-image from being mystic. A cartoon and a cartoon film which were begun with the link of a text and an illustration give shape to all of images such as materials, places and even thoughts with a cartoon icon existed in only a cartoon. A cartoon and a cartoon film simply and exquistely conceptualize the complex and vague attribute of an organic creature and extend them infinetly beyond language. However, it can be exploited as a mysticism to temptate the general public and a faking material. In addition to that, it can distort our world-knowledge engaging a political power and the massive power of mass media. In this paper, being based on semiotics to approach a cartoon film in a scientific and organic system, I conclude that a non-linguistic cartoon expression is entangled with the manifold signs and implies the supplementary meanings just like a regular linguistic expression. It remarks that the iconic images of a cartoon film are composed of the social codes and can be analyzed on grounds of a linguistic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