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 of Verbal Expression of Stool, Bristol Stool Form Scale and Colon Transit Time for Children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소화기 증상이 있는 환아의 대변표현형, Bristol 대변형태척도 및 대장통과시간검사와의 상관관계

  • Lee, Yong Ju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Ki Sup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용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기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5.07.27
  • Accepted : 2005.08.25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among descriptions regarding one's stool, Bristol stool form scale and colon transit time (CTT) in children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along with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ristol stool form scale. Methods: 489 patients treated in the pediatric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tal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between May 2002 to May 2004 were included. We analyzed their age, sex, verbal descriptions of stool, Bristol stool form types, and CTT measured by Metcalf's method. Results: 116 children were under 5 years of age, 202 children between 5.1~10, and 171 children 10 years of age or older. Their mean age was $8.2{\pm}3.9years$. Stools were described as loose in 65 children (13.3%), normal in 221 (45.2%), hard in 188 (38.4%), and mixed (loose+hard) in 15 (3.1%). According to Bristol stool form scale, 57 children(11.7%) were classified as type 1, 66 (13.5%) as type 2, 203 (41.5%) as type 3, 109 (22.3%) as type 4, 36 (7.4%) as type 5, 18 (3.7%) as type 6, and 1 (0.2%) as type 7. Their mean CTT was checked $35.9{\pm}19.5hours$. Though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ge and CTT (p=0.4),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noted among patient's stool description, Bristol stool form scale and CTT (p<0.001). However, concordance between stool description and Bristol stool form was relatively low in the loose stool group (29%) and normal stool group (37%) while high in the hard stool group (87%). Conclusion: Bristol stool form scale could be used in the estimation of CTT in clinical practice.

목 적: Bristol 대변형태척도는 대장통과시간을 예측하는 간단한 방법이나 임상적으로 또는 연구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화기 증상으로 내원한 환아의 대변표현형, Bristol 대변형태척도와 대장통과시간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이들 상호간의 연관성 및 Bristol 대변형 태척도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소화기 증상으로 연세의대 세브란스 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48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연령, 성별, 대변의 표현형, Bristol 대변형태를 기술하고, 방사선 불투과성 표지자(Sitzmark$^R$ 또는 Kolomark$^{TM}$) 24개 또는 20개를 연속적으로 3일간 복용시킨 후 4일째 복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대장통과시간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내원한 환아의 평균 연령은 $8.2{\pm}3.9$세로 5세 이하 116명, 5세 초과부터 10세 이하 202명, 10세 초과 171명이었다. 대변표현형은 묽은 변 65명(13.3%), 정상 변 221명(45.2%), 굳은 변 188명(38.4%), 묽은 변과 굳은 변이 교대하는 환아가 15명(3.1%)이었고, Bristol 대변형태는 type 1이 57명(11.7%), type 2가 66명(13.5%), type 3이 203명(41.5%), type 4가 108명(22.1%), type 5가 36명(7.4%), type 6이 18명(3.7%), type 7이 1명(0.2%)이었다. 환아의 평균대장통과시간은 $35.9{\pm}19.5$시간이었다. 연령군과 평균 대장통과시간은 상관관계(p=4)가 없었다. 환아의 대변표현형, Bristol 대변형태, 대장통과시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p<0.001)를 보였으며, 환아가 진술한 대변표현형과 Bristol 형태는 유의한 상관관계(p<0.01)를 가지고 있었으나, 일치율은 묽은 변 29%, 정상 변 37%, 굳은 변 87%로 대변표현형이 굳은 변으로 감에 따라 높았고, 묽은 변으로 갈수록 일치율은 현저히 낮았다. 결 론: 대장통과시간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는 환아에 있어서 Bristol 대변형태척도를 이용하여 대장통과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임상 진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