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Wetlands Research (한국습지학회지)
- Volume 7 Issue 2
- /
- Pages.37-52
- /
- 2005
- /
- 1229-6031(pISSN)
- /
- 2384-0056(eISSN)
Distribution of bacterial population and activities at the tidal flat in southern area of Ganghwa Island, Korea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의 세균수 및 활성의 분포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Vertical distribution of bacterial population and activities were compared between the muddy and sandy sediment of the tidal flat located in southern area of Ganghwa Island. The average of bacterial number and activities in mud fla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sand flat. Bacterial number was markedly increased at the sandflat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which seemed to be the result of increase of mud content. The number and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in mudflat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mangrove sediment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bacterial number with the depth, but the aminopeptidase activity and bacterial productivity were decreased markedly within 3~5cm depth of sediment due to the availability of carbon sources and molecular oxygen in pore water. The number and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in mudflat did not cor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icroalgae; however, those in sand flat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icroalgae. The distribution of marsh plant in the mudflat area might be the reason of the difference.
갯벌환경에 대한 이해의 증진과 가치산정에 필요한 자료 생산의 측면에서 강화도 남단의 모래갯벌과 펄갯벌의 세균수와 활성의 수직분포를 비교하였다. 평균적으로 펄갯벌의 세균수와 활성이 모래갯벌에 비해 더 높은 값을 보였다. 모래갯벌의 세균수는 조사기간동안 펄갯벌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펄성분의 증가에 따른 환경조건의 변화가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강화도 펄갯벌의 세균수와 활성은 맹그로브지역에 버금가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모래갯벌의 세균수와 활성도 외국의 갯벌에 비교해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세균수는 퇴적토의 깊이에 따른 차이가 명확하지 않았으나 효소활성, 세균생산력은 깊이 3~5 cm 이내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퇴적토 깊이의 증가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하며 용존상태로 공급되는 유기물의 양도 감소하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펄갯벌의 세균수와 활성이 미소 일차생산자의 분포와 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모래갯벌에서는 미소 일차생산자의 분포가 세균수와 활성을 조절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펄갯벌의 경우 주변에 서식하는 칠면초군락으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의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