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pectives on the Landscape Ecological Function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as a Stream Landscape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 최재웅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RCF) have been historical assets for the rural communities of more than 40,000 in Korea and they have provided an identity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parts of a unique cultural landscape in the rural areas as components of stream landscape. In many cases,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located close to stream corrid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on stream water quality and to evaluate its ecological landscape valu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concensus and domestic government policy for close-to-nature stream, we could find out that Dangsan forests and RCF'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lose-to-nature streams.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s close to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maintained with local culture. It is also compared to the streams located wher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absent. Eight study sites were selecte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at each study sit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temperature, pH, total P, total N, dissolved oxygen, EC, BOD, COD and SS. Aquatic invertebrates were observed as water quality indicator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quatic invertebrate species, GPI, DO, EC, BOD, and 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stream water due to the presence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The role of Dangsan forests and the RCF was evident in the conservation of stream landscape and rural culture as well as in maintaining stream water quality. The management schemes of the streams with Dangsan forests and the RCF's are also suggested.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당산숲 마을숲은 하천변에 위치한 수변림(Riparian buffers)으로서, 하천통로에 연결된 녹지 패치이다. 당산숲 마을숲은 약 $400{\sim}500$년 전에 마을주민들이 자연재해 예방 등의 목적을 위해 하천변에 인공적으로 심은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당산숲 마을숲은 그 동안 많이 훼손되고 소실되어 그 실체가 도시민 등 많은 사람들에게 그 실체와 가치가 잘 인식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은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마을숲이 갖고 있는 경관생태적 기능과 역할 제고 방안을 찾고자 한 것으로 첫째, 국내외 자연형 하천관리 및 당산숲 마을숲의 특성, 둘째로 당산숲 마을숲과 하천의 상관관계, 셋째로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마을숲의 기능 고찰 및 역할 제고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자연형 하천 관리에서 외국의 사례는 유럽 등을 살펴 보았고, 국내의 자연형 하천관리 시책으로는 건설교통부의 '친환경 하천정비 기본계획 수립지침'(2005), 환경부의 '하천복원 가이드라인'(2002), 행정자치부의 '소하천정비 종합계획'을 고찰하였다. 당산숲 마을숲과 하천의 상관관계에서는 하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과 수질을 측정하였는데, 통계패키지 SPSS 12.0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10%를 기준으로 분산분석한 결과, 출현종(군)의 수, GPI(군오염지수), DO, 수온, pH, EC, BOD, COD, SS, T-N, T-P 등 모두 11개의 조사항목 중 출현종(군)의 수, GPI, DO, EC, BOD, SS등 여섯 항목에서 숲의 유무에 의한 차이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당산숲 마을숲의 기능 고찰 및 역할 제고에서는 먼저, 선진 외국에서 수변완충녹지의 기능을 어떻게 이해하며 중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후, 우리나라 당산숲 마을숲이 갖고 있는 수변림으로서 특성과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역할 제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론으로, 수변경관으로서 당산숲 마을숲의 기능 역할 제고를 통해 우리나라 현실에 근거한 '한국형 하천경관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