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Food Sanitation Officers Toward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관련 식품위생공무원의 인지도 조사

  • Oh Kyeung Nam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tandard Evaluation, Division of Nutritional Evaluation) ;
  • Lee Soon Ho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tandard Evaluation, Division of Nutritional Evaluation) ;
  • Lee Woo Young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tandard Evaluation, Division of Nutritional Evaluation) ;
  • Park Hye Kyung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tandard Evaluation, Division of Nutritional Evaluation) ;
  • Park Sun He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tandard Evaluation, Division of Nutritional Evaluation)
  • 오경남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영양평가과) ;
  • 이순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영양평가과) ;
  • 이우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영양평가과) ;
  • 박혜경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영양평가과) ;
  • 박선희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영양평가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ood sanitation officers toward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They were mainly from Regional Agencies of KFDA, City/Province office, and National quarantine station. Some of them were professors of university and researchers of research institute. Most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s of hearing or reading GM foods (over $95\%$) and over $90\%$ of respondents much needed the label of GM foods. Although some of officers of city/province office and national quarantine station showed less knowledge than other respondent groups, most of respondents had basic knowledge about biology. The frequency of respondents worked over 20 years and worked in the general administ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in the question of unsafe of GM foods. The answer frequency of careless treatment of foods was highest in the question of risk factor, and the frequency of GM foods was lowest ($4.4\%$). It was concluded that food sanitation officers had positive opinion about GM food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mong ag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more educations and informations are needed for food sanitation officers.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된 담당 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의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을 근무년수별, 소속별, 업무별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지의 각 문항에 대한 결과는 위 분류별로 통계분석하여 빈도수 및 응답률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들어본 경험은 $9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전자재조차식품의 혜택은 식량난 해결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표시에 대해서는 '$90\%$ 이상이 표시해야 한다' 또는 '가급적 표시해야 한다'로 응답하여 식품위생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은 유전자재조합 표시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학력 수준 및 전문 수준이 높을수록 구입하여 먹을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은 근무년수별, 소속별, 업무별 구분에 상관없이 기본적인 지식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cdot$도공무원 및 국립검역소 그룹은 다른 전문가 그룹에 비해서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안전성 인식은 대체로 안전하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20년 이상 근무자와 일반 행정 업무자는 다른 그룹에 비해서 안전하지 않거나 불안하다는 견해를 더 많이 나타냈다.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식품취급 부주의 및 취급 불량으로 응답하였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협요인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매우 적었다($4.4\%$). 결론적으로 유전자재조합식품 관련 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은 일반시민들에 비해서 섭취나 안전성에 보다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지만 생물학 지식에 대해서는 그룹별 차이가 있었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민원업무 처리에 어려운 점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아 관련 전문가들에게도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가 가능하다는 사전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낮은 pH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시 산발효조를 거치지 않고도 혐기성 처리가 가능하였으며,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유기물 및 고형물의 처리효율은 매우 양호했고 또한 인의 제거율도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국 음식물쓰레기(11,398ton/d)를 대상으로 에너지를 산출하면 Braun에너지 환산계수 $5.97kwh/m3(60\%\;CH_{4})$를 적용할 때 우리나라의 1일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총량은 6,727MWh로 환산될 수 있으며 이는 유기물(COD)당 발생되는 메탄 가스량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고농도의 유기물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는 Hybrid Anaerobic Reactor (HAR)를 이용하여 HRT 30일 정도에서 충분히 직접 혐기성처리가 가능하며, 이때 발생된 $CH_{4}$를 회수하여 이용하면 대체에너지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207), $99.2\%$(238/240), $98.5\%$(133/135) 및 $100\%$ (313)였다. 각각 두 개의 요골동맥과 우내흉동맥에서 부분협착이나 경쟁혈류가 관찰되었다. 결론: 동맥 도관만을 이용한 Off pump CABG를 시행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영구적인 신경학적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았고 좋은 혈관 개존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동맥 도관을 이용한 Off pump CABG는 관상동맥의 협착의 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시행 시 좋은 임상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였다. 그러나 심근 기능이나 좌심실의 리모델링 경과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결과 실제 실험 값들은 예측된 값들과 유사한 수준의 결과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iosafety white paper,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LMOs, 320-332 (2004)
  2. 박선희: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그 표시문제, 식품공업, 제 146 호 (1998)
  3. 김영찬, 장경원, 엄보영: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홍보방안 의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0)
  4. Van Bel AJ, Hibberd J, Prufer D, Knoblauch M.: Novel approach in plastid transformation. Curr Opin Biotechnol., 12, 144-149 (2001) https://doi.org/10.1016/S0958-1669(00)00189-0
  5. Andrew P, Benson, BA.: Consumer attitudes and communications about food biotechnology in the USA. KFDA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netically Modified Foods, 91-110 (2001)
  6. Hoban, TJ: Consumer acceptance of biotechnology. Nature biotechnology, 15, 232-234 (1997) https://doi.org/10.1038/nbt0397-232
  7. Kim, MJ: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of housewives about genetically modified foods. Graduate school of Suncheon University (2001)
  8. Kim, YC, Park, KJ, Kim, SJ, Kang, EY, Kim, DY: Attitudes to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Korea -Focus on consumers-, J. Food Hyg. Safety, (16), 66-75 (2001)
  9. Park, KJ, Kim, YC, Lee, HS, Rho, MJ, Cho, YH, Lee, YH, Lee, KM, Rho, WS, Yang,JH, Kim, JS, and Lee, SP: A study on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issues in Korea -Focus on the Public Official Related to Food Hygiene- J. Food Hyg. Safety, 14, 34-44 (1999)
  10. Kim, MH, Ahn, JM, Park, SW, Kim, YS, Kyung, KH: Survey of consumer Awareness and sttitudes about food biotechnology in Korea, J. Food Hyg. Safety, 16, 152-158 (2001)
  11. Saad, L.: Biotech food remains fairly obscure to most Americans. Gallup News Service (2001)
  12.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Stud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distribution and consumer's attitudes (1999)
  13. 장호민 :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한국의 정책 및 소비자 인 식. 제4차 바이오안전성 국제세미나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