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호 남조류 대발생기의 동물플랑크톤상(相) 및 Microcystis aeruginosa와 물벼룩류 개체군 변동의 상관관계

Zooplankton Fauna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Cladoceran Populations and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ceae) during the Cyanobacterial Blooming Season at Daecheong Lake, South Korea

  • 이지민 (대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이정준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박종근 (수자원연구소 수질환경부) ;
  • 이정호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윤성명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장천영 (대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발행 : 2005.06.30

초록

매년 여름철마다 남조류의 대발생이 반복되고 있는 대청호에서, 수화기간 동안 가장 우점적으로 나타난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의 밀도변화와 동물플랑크톤 중 환경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진 물벼룩류 개체군들의 변동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001년 6월 부터 10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회남, 내탑 ,본댐 앞 등 대청댐의 3개 지점을 조사정점으로 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윤충류 21종, 물벼룩 15종, 요각류 14종을 비롯하여 총 54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대부분의 동물플랑크톤 종들은 빈영양성 ${\sim}$ ${\beta}$-중부수성의 수질지표를 보이는 종들이었다.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물량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고, 남조류 수화가 심한 조사정점에서 오히려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다.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물벼룩류 출현종들의 천이 양상은 매우 뚜렷하였다. 물벼룩류 출현종들의 개체군 변동은 수온 등의 이화학적 요인의 변동보다는, 남조류 개체군의 밀도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조류의 대발생이 시작되면 Daphnia galeata와 같은 대형 물벼룩류의 개체군 크기가 급감하고 대신 Bosmina longirostris와 같은 소형 물벼룩류의 개체군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후 남조류 밀도가 감소하면서 Diaphanosoma dubium 개체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조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민감하게 개체군 생장의 영향을 받는 종은 D. galeata 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종은 남조류에 의해 직접적인 저해를 받는 것으로 추정되며, D. galeata 개체군의 크기 변화는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동물플랑크톤 군집 전반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fty-four zooplankton species from Daecheong Lake were identified during the research period from June to October 2001. The representative zooplanktons mostly comprised the index species indicating the intermediate stage from oligosaprobity to ${\beta}$-mesosaprobity. During the blooming season of blue-green algae, the population of large cladocerans like Daphnia galeata precipitously decreased in size, while rotifers and small cladocerans like Bosmina longirostris increased in population size. Therefore, soon after the peak of the blooming of blue-green algae, whole zooplankton standing crop and number of species showed the tendency of recovery, or even the sharp increase. The population size of Daphnia galeata was affected very sensitively by the change of cyanobacterial den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도한, 이정호, 조주래, 황수옥, 박종근, 김영길, 김범철, 서지은, 박정희, 오희목. 1996. 댐저수지 수중생태계 변화에 관한 연구(2차년도). 한국수자원공사. 342 pp
  2. 김범철, 김재옥, 전만식, 황순진. 1999. 소양호 동.식물플랑크 톤의 계절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2: 127-134
  3. 김의식, 손광수, 지해성, 명남진, 백운화. 1996. 동물 플랑크톤섭식에 의한 인공 연못의 조류 제거, 한국육수학회지 29: 65-69
  4. 김호섭, 김범철, 최은미, 황순진. 2000. 부영양호수에서 남조류 bloom이 동물플랑크톤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3: 366-373
  5. 이정호. 1999. 대청호의 년중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2: 358-366
  6. 이정호, 김도한, 박종근, 백인호. 1998. 취수원 조류군집의 특성에 관한 연구(1차년도). 한국수자원공사. 166 pp
  7. 이정호, 박종근. 2000. 1997년 대청호 남조류 수화의 특성, 대구대학교 기초과학연구 16: 147-153
  8. 이정호, 황수옥, 박종근, 김영길, 김범철, 서지은, 박정희, 오희목. 1997. 댐저수지 수중생태계 변화에 관한 연구 (3차년도). 한국수자원공사. 312 pp
  9. 임병진, 김범철, 유광일, 유재근. 1997. 낙동강에서 남조류 대발 생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0: 337- 346
  10. 장천영, 송성준. 2000. 서낙동강의 동물플랑크톤상, 대구대학교 기초과학연구 17: 83-90
  11. 한국동물분류학회 편. 1997. 한국동물명집 (곤충제외). 아카데 미서적, 서울. 489 pp
  12. 한국수자원공사. 1998. 대청다목적댐 관리연보. 451 pp
  13. Chang, C.Y. and H.S. Kim. 1986. The freshwater Calanoida (Crustacea: Copepoda) of Korea. Kor. J. Syst. Zool. 2(1): 49-60
  14. Fulton III, R.S. 1988. Resistance to blue-green toxins by Bosmina longirostris. J. Plankton Res. 10: 771-778 https://doi.org/10.1093/plankt/10.4.771
  15. Fulton III, R.S. and H.W. Paerl. 1987. Toxic and inhibitory effects of the blue-green alga Microcystis aeruginosa on herbivorous zooplankton. J. Plankton. Res. 9: 837- 855 https://doi.org/10.1093/plankt/9.5.837
  16. Fulton III, R.S. and H.W. Paerl. 1988. Effects of the bluegreen alga Microcystis aeruginosa on zooplankton competitive relations. Oecologia. 76: 383-389
  17. Gliwicz, Z.M. 1990. Daphnia growth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lue-green filaments. Arch. Hydrobiol. 120: 51-65
  18. Hanazato, T. 1991. Interrelations between Microcystis and Cladocera in the highly eutrophic lake Kasumigaura, Japan. Int. Revue ges. Hydrobiol. 76: 21-36 https://doi.org/10.1002/iroh.19910760104
  19.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 Hill Inc., New York. 576 pp
  20. Ishida, T. 2002. Illustrated fauna of the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of Japan. Bull. Biogeogr. Soc. Japan 575: 37-106. (in Japanese)
  21. Kim, I.H. 1988. Key to the Korean freshwater Cladocera. Kor. J. Syst. Zool. Special Issue, 2: 43-65
  22. Kim, H.S. and C.Y. Chang. 1989.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Cyclopoida, Cyclopoida) of Korea. Kor. J. Syst. Zool. 5(2): 225-256
  23. Klapper, H. 1991. Control of eutrophicationi inland waters. Ellis Horwood, New York. 337 pp
  24. Koste, W. 1978. Die Radertiere Mitteleuropas (begrundt von M. Voigt). vols. 1-2. Stuttgart. 673 pp
  25. Lee, J.M., J.M. Jeon and C.Y. Chang. 2005. Taxonomy on Genus Mesocyclops (Copepoda: Cyclopoida: Cyclopidae) from South Korea. Kor. J. Syst. Zool. 23: (in press)
  26. Mizuno, T. and E. Takahashi. 1991. An illustrated guide to freshwater zooplankton in Japan. Tokai Univ. Press, 532 pp. (in Japanese)
  27. Sellner, K.G., M.M. Olson and K. Olli. 1996. Copepod interactions with toxic and non-toxic cyanobacteria from the Gulf of Finland. Phycologia. 35: 177-182
  28. Shen, C.J. 1979. Fauna Sinica. Freshwater Copepoda. Science Press, Peking. 650 pp
  29. Sladecek, V. 1991. Atlas of freshwater saprobic organisms (transl. by M. Sudzuki). Hokuryukan Co., Tokyo. 301 pp
  30. Song, M.O. and H.S. Kim. 1989. Monogonont Rotifers (Monogononta: Rotifera) inhabiting several lowland swamps in Kyongsangnam-do, Korea. Kor. J. Syst. Zool. 5(2): 139-158
  31. Ueda, H. and J.W. Reid. 2003. Copepoda: Cyclopoida. Genera Mesocyclops and Thermocyclops. Backhuys Publishers, Leiden. 318 pp
  32. Urabe, J., K. Kawabata, M. Nakanishi and K. Shimizu. 1996. Grazing and food size selec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Biwa during BITEX '93. Jpn. J. Limnol. 57: 27-37 https://doi.org/10.3739/rikusui.57.27
  33. USEPA. 1990. Lake and reservoir restoration guidance manual. North American Lake Management Society, Washington, D.C. 326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