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Sexual Attitude and Body Satisfaction on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성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가 신체 노출 의복의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 Kim, Soo-Kyoung (Dept. of Traditional Korean fashion design, Baewha women's college)
  • 김수경 (배화여자대학 전통복식디자인과)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is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sex and body satisfaction in the on interes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subject were 397 female students from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consisted of response scale and stimuli. Thirty-four four items on a of 5-point Likert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s sex and body satisfaction The stimuli were 6 types of different body exposed clothing style on line draw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ost female students were liberal in sexual attitude and had a high level of body satisfaction. Especially, younger students were more liberal than older students. 2. Designs with the greatest interest, preference and that were most interested in, prefer and had buying intention were Camisole, V-neckline and low-neckline designed clothes. 3. Attitude toward sexual value has a strong effect on interes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And also ilneterest of body exposed clothing has more effect on buying intention than preference.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1994), 6월 30일자 철만난 '노출산업' 4조 시장
  2. 고애란(1982). 성인 남자의 의복행동과 강화통제 및 신체적 만족과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고애란, 강혜원(1992). 의복의 색과 선체 노출이 정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6(3), 181-195
  4. 김경신(1997). 미혼남녀의 사랑과 성에 대한 태도 및 배우자 선택 조건. 대한가정학회지, 35(3), 15-30
  5. 김경옥(1983). 의복의 노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6. 김귀희(1986), 일부 고등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와 성교육요구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7. 김인숙, 신소진(1994). 신체노출을 달리한 남성 캐쥬얼 복장에 대한 남녀대학생의 인상형성. 한국의류학회. 18(4)
  8. 김정숙(1985). 女大生의 新體的 满足度와 依服디자인 기호간의 상관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9. 김지연, 이경희(2001). 현대패션에 나타난 인체 노출의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 913-924
  10. 김희라(1992). 신체 만족도와 의상흥미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1. 류혜옥(1986). 청소년 성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2. 매일 경제 신문(2002). 7월 4일자, 섹시룩은 여름패션의 완성
  13. 양미선(1985). 여고생들의 자아개념, 신체상 및 성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4. 이수지(1993). 성인 여성의 선체 만족도 및 스트레스에 따른 미니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5. 이영주(1999). 여대생의 체중조절행동과 의복 만족도 및 신체노출의복행동의 관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6. 이유정(1996). 고등학생의 성태도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영남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7. 이은지(1994). 정상인과 지체장애인 여성의 자아개념과 의복디자인 선호도와의 상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8. 이정옥, 권미정(1996). 에로티시즘적 분위기 표현에 따른 의상디자인의 형태 연구. 한국의류학회, 20(1), 3-18
  19. 임숙자(1990). 올림픽 경기가 국내 의생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梨花女大韓國文化硏究院論虋, 58, 391-427
  20. 장혜원(1995).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조선일보(2004). 7월 22일자, 올여름 여성패션 진짜 '짧다'
  22. 조은영. 홍병숙(1995). 여성의 신체 노출의상에 대한 인지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19(5). 723-737
  23. 한미연(1994). 여대생의 사회적 태도와 신체 노출행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4. Flugel, J. C. (1950). The Psychology of clothes, N,Y,: International Univ. Press
  25. Horn, N. J. (1975). The second skin(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26. Hom, N. J., & Curel, L. M. (1981). The second skin(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de
  27. Huber, D. W. (1973). An analysis of consumer and retailer practices regarding women's garment satisfactio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2
  28. Olstrom, J. M. (1972). Satisfaction with clothing and personal appearance related to self-esteem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mong full-time homemakers, Home economics research abstracts, p.5l
  29. Richard, E. A., & Hawthorne, R. E. (1971). Values, Body Cathexis and Clothing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nal of Home Economics, 63(3)
  30. Rosencranz, M. L. (1962). Clothing Symbolism. Journal of Home Economics, 54, 18-22
  31.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ark: Holt, Rinehart & Wiston, Inc
  32.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earance of Body Cathexis: Body cathexis and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5), 343-347 https://doi.org/10.1037/h0060689
  33. Simon, W. & Gangon (1974). Psycho-sexual development. In Skolnik, A. & Skolnik, J.H.(eds) Intimacy, family & society, Boston: Little Brown & Co
  34. Sontag, M. S., & Schlater, J. D. (1973).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Evolution of a concept. Clothing Textiles Research Journal,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