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기록기($ActiWatch^{(R)}$$SleepWatch^{(R)}$) 성능 비교 연구:야간수면다원기록을 표준으로 한 수면변인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Actigraphic Performance between $ActiWatch^{(R)}$ and $SleepWatch^{(R)}$:Focused on Sleep Parameters Utilizing Nocturnal Polysomnography as the Standard

  • 신홍범 (을지의과대학교 정신과학교실 및 노원 을지병원 신경정신과) ;
  • 이주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수면검사실) ;
  • 이유진 (서울시립은평병원 정신과) ;
  • 김광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수면검사실) ;
  • 이은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수면검사실) ;
  • 한종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용생체공학 협동 과정) ;
  • 임미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정도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수면검사실)
  • Shin, Hong-Beom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Eulji Medical Center) ;
  • Lee, Ju-Young (Division of Sleep Studies an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Yu-Jin (Department of Psychiatry, Eunpyung Metropolitan Hospital) ;
  • Kim, Kwang-Jin (Division of Sleep Studies an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Eun-Young (Division of Sleep Studies an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Han, Jong-He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Im, Mee-Hyang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Do-Un (Division of Sleep Studies an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발행 : 2005.06.30

초록

목 적:동일한 피험자에 동시 착용된 두 기종의 활동기록기에서 얻어진 수면 관련 변수들을 서로 비교하고 이를 수면다원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이들 두 기종의 활동기록기에서 얻어지는 수면변수를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초기 평가 시 내외과적 질환, 정신과적 질환 및 수면 장애가 발견되지 않은 자원자 14명(남:여=5:9, 연령 $28{\pm}4.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수면검사실에서 두 가지 종류의 활동기록기를 동시에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고, 이들 세 기기에서 산출된 수면 변수들을 각각 비교하였다. 결 과:$ActiWatch^{(R)}$$SleepWatch^{(R)}$의 수면 변수를 수면 다원검사 결과와 각각 비교한 결과, $ActiWatch^{(R)}$$SleepWatch^{(R)}$ 모두 총수면 시간을 과대평가(overestimate)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leepWatch^{(R)}$는 입면 잠복기를 과소평가(underestimate)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 기기를 통해 측정된 각 수면변수 비교 결과, 수면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SleepWatch^{(R)}$의 입면 잠복기를 제외한 모든 수면 변수에서 선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두 활동기록기에서 나온 수면 변수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들 사이에도 유의한 선형적인 관계가 있었다. 결 론:두 기종의 활동기록기에서 얻어진 결과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두 기종들의 결과는 서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활동기록기가 수면다원검사를 대체하기는 힘들 것으로 생각되지만, 입면잠복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면변수가 선형적 관련성을 보이므로 수면다원검사 시행 후 간단하게 치료반응에 대한 추적 관찰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활동기록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We attemp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2 commercially available actigraphies with focus on sleep parameters, using polysomnography as standard comparison tool. Methods: Fourteen normal volunteers (5 males and 9 females, mean age of $28{\pm}4.6\;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one night of polysomnography, simultaneously wearing 2 different kinds of actigraphies on each wrist. Polysomnographic and actigraphic data were stored, download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standard protocols and then statistically compared. Results: Both $ActiWatch^{(R)}$ and $SleepWatch^{(R)}$ tended to overestimate the total sleep time, compared to the polysomnography. $SleepWatch^{(R)}$ tended to underestimate the sleep latency. The two actigraphs and the polysomnograp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f sleep efficiency, when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addition, all of the sleep parameters from the instruments showed linear correlations except in $SleepWatch^{(R)}'s$ sleep latency. The sleep parameters from the two actigraphs did not show much noteworthy difference, and linear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sleep parameters from the two actigrap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stinction in the results of the two different actigraphs. Conclusion: The results of two actigraphi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since the sleep parameters of the two different actigraphies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Overall, it is not legitimate to use actigraphy as a substitute for polysomnography. However, since sleep parameters except sleep latency show linear correlations, actigraphy might possibly be used to follow up patients after polysomnograph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