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ontrol in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 Fairways

켄터키 블루그래스 페어웨이에서 문제가 되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방제

  • Tae Hyun-Sook (Turfgrass and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Samsung Everland Inc.)
  • 태현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잔디 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had been the problematic weed for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fairway since it shows light green color all year.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est herbicides combination to control creeping bentgrass in Kentucky bluegrass. fairway without injury.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herbicides, five post-emergence herbicides of asulam WG ($87.6\%$), imazaquin SL ($20\%$), fenoxaprop-P-ethyl EC ($7\%$), mecoprop SL ($50\%$), triclopyr-TEA SL ($30\%$) and one pre-emergence herbicide pendimethalin EC ($31.7\%$) treated on 21 Sept. and 10 Nov. 2003. Kentucky bluegrass visual quality evaluated 30 and 50 days after application for phytotoxic effects of the herbicides. As a result, asulam WG (0.2g/$m^{2}$) and imazaquin SL (0.3ml/$m^{2}$) showed approximately $90\%$ of control in creeping bentgrass, but visual quality of Kentucky bluegras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0 to 50DAT (day after treatment). However, creeping bentgrass was acceptably controlled(over $80\%$) by fenoxaprop-P-ethyl EC (0.4ml/$m^{2}$)+triclopyr-TEA SL(0.3 ml/$m^{2}$) applied twice on 21 Sept. and 1 Oct. 2003 without serious injury on Kentucky bluegras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n application of fenoxaprop-P-ethyl EC (0.4ml/ $m^{2}$)+triclopyr-TEA SL (0.3 ml/$m^{2}$) may be more effective to control creeping bentgrass in Kentucky bluegrass with the least phytotoxicity by herbicides.

페어웨이나 티가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에서 최근 큰 문제가 되는 부분이 바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침입으로 이것은 골프장 전체의 미관을 크게 떨어뜨리지만, 번식속도가 빨라 매년 피해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발생 초기에 약제를 처리하여 켄터키 블루그래스 약해를 최소화 하면서 크리핑 벤트그래스만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다양한 약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크리핑 벤트그래스 방제 효과가 높을수록 켄터키 블루그래스에 약해가 심하게 나타나는 경항을 보였으나, fenoxaprop + triclopyr 처리에서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방제가가 $80\%$ 이상 되었으며, 켄터키 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도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은 다시 회복되지 못하였는데 이는 fenoxaprop이 다습하고 낯은 기온에서 약효가 높아져 제초제 민감성이 매우 높은 크리핑 벤트 그래스가 약해 스트레스를 극복하지 못하는 특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골프장의 켄터키 블루그래스 티나 페어웨이에 발생된 크리핑 벤트그래스에 fenoxaprop + triclopyr를 부분 처리하여 크리핑 벤트그래스 발생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다만 다년생 잡초를 1$\sim$2회 시약으로 완전히 방제하기는 어려우므로 연차적으로 발생면적을 줄여나간다는 개념이 필요하다. 향후 추가 약제선발 뿐 아니라 적정방제시기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국내의 골프장 관리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함량에는 미치지 못했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비율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 급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13\%$이상 증가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1-7.5\%$가 감소되었다. 6.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급여로 정상군보다 $90\%$이상 증가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분획 병합투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 급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34.1\%$가 감소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분획 병합투여로 감소된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 급여로 $524\%$가 증가된 동맥경화지수는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40.2\%,\;51.2\%$가 감소됨으로써 동맥경화 발병 위험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총콜레스테롤 함량 비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 급여로 정상군보다 $73.9\%$가 감소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26두가 발정 반응($96.3\%$)을 나타내어 2.75${\~}$3.5의 경우가 2.50 이하의 경우에 비하여 높은 발정반응을 나타내었다.osterone과 0.40의 정의 상관이었고 근내지방도와 creatinine 농도간에는 -0.55의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계수가

Keywords

References

  1. 김길웅. 1998. 잡초 방제학 원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pp.183-192
  2. 김경남, 박원규, 남상용. 2003. 모래 토양에서 켄터키블루그래스, 퍼레니얼라이그래스, 톨훼스큐 및 한지형 혼합구 뗏장의 피복도, 균일도, 근계 형성력 및 잔디품질 비교. 한국잔디학회지 17(4):129-146
  3. 농업과학기술원, 농약공업협회. 2001. 농약등록시험 담당자 교재
  4. 심상열. 1996. 사철 푸른 한지형 잔디의 특성, 이용 및 조성법. 환경과 조경. 97:148-153
  5. 안용태 외. 1992. 골프장 관리의 기본과 실제. 한국잔디연구소. pp.8-12
  6. Beam, J.B., W.L. Barker, and S.D. Askew. 2003. Selective Bentgrass Control In Cool Season Roughs. Proceedings, Southern Weed Sceience Society, Volume 56:251-257
  7. Dernoeden, P.R. 2000. Creeping bentgrass management. Ann arbor press, Chelsea, Michgan. pp.93-109
  8. Dernoeden, P.H. 2004. Post-emergence weed weaponry. Ground Maintenance. Jan.1. pp.80-86
  9. Fagemess, M. 2002. Weed control. Ground Maintenance. Jan.1. pp.77-83
  10. McCarty, L.B., J.W. Everest, D.W. Hall, T.R. Murphy, and F. Yelverton. 2001. Color atlas of turfgrass weeds. pp.233-246
  11. Monaco. T.J., S.C. Weller and F.M. Ashton. 2002. Weed Science principles and practicies(4th). pp.269-310, 501-521
  12. SAS Institute. 1990. SAS.STAT user's guide. Vol.2. 4th ed SAS Institute, Cary, NC
  13. Turgeon, A.J. 1999. Turfgrass Management (5th). Prentice 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pp.8-12, 95-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