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Management Using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Site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천연(天然) 활엽수림(闊葉樹林)의 입지유형별(立地類型別) 생장(生長) 및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한 산림관리(山林管理)

  • Shin, Man Yong (Dept. of Forest Resource, Kookmin Univ.) ;
  • Lee, Seung Man (Dept. of Forest Resource, Kookmin Univ.) ;
  • Lee, Don Koo (Dept. of Forest Resourc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승만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돈구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5.01.04
  • Accepted : 2005.02.04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site types of natural deciduous forest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aspects(the East, the West, the South, and the North) with three elevation(higher than 1.000 m, 700~1,000 m, lower than 700 m) and three topographical conditions(ridge, hill, and valley). Growth parameters by site typ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growth performances of dbh for the last 5 to 10 years; which were also estimated based on both Pressler and Schneider formulae. In addi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hannon-Wiener's diversity index, evenness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analyzed by site types. The management methods by site types were suggested by considering stand density, growth pattern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stands on the South and the East are necessary the tending practices to improve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West and the North needed the tending practices focusing on stand density management to increase growth rate rather than ecological managem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area lower than 700 m in elevation showed Higher growth rate than other areas. As a management standard considered in terms of growth rate, it was suggested that tending practices should be applied to the stands of which growth rate for the last 5 to 10 years were lower than 2%. Considering topographical conditions, valley area showed bett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an both ridge and hilly areas.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the valley areas were suitable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 지역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입지유형별 임분의 생장 특성과 생태적 특성을 구명함으로써 각 임분 특성에 맞는 산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지를 방위, 해발고도, 지형 조건에 따라 36개의 입지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입지유형별로 직경 생장량과 직경 생장률 그리고 Shannon-Wither의 다양성지수, 균재도, 풍부도를 파악하여 임분의 생장 특성과 생태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산림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임분의 생장 특성은 방위에 따라서는 동쪽 사면과 서쪽 사면이,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서쪽 사면을 제외하고는 해발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그리고 지형 조건에 따라서는 사면과 계곡이 양호한 생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생태적 특성은 적정한 습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지역으로 방위별로는 북쪽 사면과 서쪽 사면, 지형 조건별로는 계곡의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해발고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찾아볼 수 없었다. 입지유형별 산림관리 방안은 남쪽 사면과 동쪽 사면의 경우 임목 생장과 생태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무육작업이 필요한 반면 서쪽 사면과 북쪽 사면은 생장 촉진을 위주로 한 밀도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저지대는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무육관리가 필요하며, 고지대와 중지대는 직경 생장률이 2% 미만인 지역에 대해서는 생장 촉진을 위한 무육작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형 조건에 따라서는 남쪽 사면의 중지대와 고지대를 제외하고는 계곡의 생태적 안정성이 기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친환경적 경영에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환경친화적 조림기술과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기술 개발 연구(IV)

Supported by : 동부지방산림관리청

References

  1. 강성기, 김지홍, 진광제, 양희문. 2000. 전봉산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I). 강원대학교 삼림과학연구 16: 93-104
  2. 강호상, 이돈구. 1998.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음나무의 입지환경 및 생장특성. 한국임학회지 87(3) : 483-492
  3. 김갑덕. 1986. 삼림측정학. 향문사. 275pp
  4. 김지홍, 양희문, 김광택. 1999. 천연활엽수림의 세가지 조림작업종에 따른 천연갱신 양상. 한국임학회지 88(2) : 169-178
  5. 김태옥, 이돈구, 서민환. 1989. 설악산 오색계곡의 해발고에 따른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피나무류의 분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농학연구 14(2-1): 21-26
  6. 박인협. 1985. 백운산지역 천연림생태계의 삼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pp
  7. 산림청. 1992.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보고서(III). 9-11 P
  8. 산림청. 1999.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보고서(X). 144-152p
  9. 신만용, 임종수, 이돈구. 2001. 강원도 평창 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입지유형별 임분구조와 경쟁관계의 구명. 한국임학회지 90(3) : 295-305
  10. 신만용, 임종수, 이돈구. 2002. 천연 활엽수림의 입지유형별 임분구조와 경쟁관계를 이용한 친환경적 산림관리 방안. 한국임학회지 91(6): 722-732
  11. 신수철, 김창호, 박교수. 1993. 소백산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연습림논문집 3 : 36-52
  12. 신현철, 이강영. 1990. 금산의 남북사면에 따른 삼림식생 구조. 한국임학회지 79(3) : 245-254
  13. 윤좀화, 한상섭, 김지홍. 1985. 천연림의 입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참나무천연림의 직립생장). 한국임학회지 71 : 50-54
  14. 이동섭, 정영관. 1986. 삼림환경인자에 의한 굴참나무임분의 생산력추정. 한국임학회지 75: 1-18
  15. 임업연구원. 1996.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전국 총괄).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122. 508pp
  16. 임종수. 2001. 입지유형에 따른 강원도 평창 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친환경적 산림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pp
  17. 임행진, 박인협, 김준선. 1986. 해발고에 따른 신갈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논문집(자연과학편) 5: 67-72
  18. 장윤석, 임양재. 1985. 지리산 피아골의 식생형과 그 구조. 식품학회지 28(2) : 165-175
  19. Cambell, R.K. and J.E. Frankin. 1981. A comparison of habitat type and elevation for seed zone classification of Douglas-Fir in Western Oregon. Forest Science 27(1) : 49-59
  20. Choi, K.R. and Y.J. Yim. 1984. On the dominance-diversity i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Seolag. Korean Journal of Botany 27(1) : 25-32
  21. Courbaud, B.F., G.P. Dreyfus and F.R. Bonnet. 2001. 'Evaluating thinning strategies using a tree distance dependent growth model: some examples based on the CAPSJS software uneven-aged spruce forests' modul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5: 15-28 https://doi.org/10.1016/S0378-1127(00)00571-5
  22. Curtis, R.O. 1982. A simple index of stand density for Douglas-fir. Forest Science 18 : 92-94
  23. Dale, G.B. 1998. Forest plant diversity at local and landscape scales in the Cascade Mountains of southwestern Washingt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09: 323-341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266-7
  24. Solomon, D.S. and J.H. Gove. 1999. Effects of uneven-age management intensity on structural diversity in two major forest types in New Eng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4: 265-274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358-2
  25. Weaver, P.L. and G.P. Bauer. 1986. Growth, survival and shoot damage in mahogany plantings in the Luqillo forest in Puerto Rico. Turrialba 36(4) : 509-522
  26.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 250-259 https://doi.org/10.1126/science.147.3655.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