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ideration of the Quantitative Nut Characteristics in Chestnut Hybrids

밤나무 교잡종(交雜種) 과실(果實)의 양적특성(量的特性)에 관한 고찰(考察)

  • Lee, Uk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Mahn-J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Moon-H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Myoung-So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Suk-In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문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황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황석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Received : 2005.01.10
  • Accepted : 2005.02.28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This study, basic research for releasing new chestnut cultivar, is conducted to consider quantitative n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mbinations and individuals In 11 chestnut hybrids. Number of bur on bearing branch(NBB) and nut yield(NY), which showed large difference among combinations, was superior in JO ($Joook{\times}Otanba$) and KO ($Kwangeun{\times}Otanba$) combinations, respectively. Average nut weight (NW) was 21.1g, the highest in EO ($Eunsan{\times}Otanba$) combination. Nut shape which was expressed to the rate of nut height and width, was investigated to the range of 1.13-1.23 in the all combinations, so nut shape of all combinations showed oval type. EO and JO combinations, which were measured to 30.0% and 27.5%, respectively in the percentage with the pericarp split(PPS), were produced more bad fruits than the others. OK ($Otanba{\times}Kwangeun$) combination, 1.7%, was the most excellent in the percentage of polyembryonic nuts(PPN), and the superior combinations which was measured to the below 5%, could be included five combinations. ER and RK combinations, were the highest values, 16.3% and $10.0kg/cm^2$, in soluble solids content(SSC) and kernel hardness (KH), respectively. NBB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Y, but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SC and NW. NW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PS, but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SC and NH. PPS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PN. Eight individuals such as superior individuals could be selected by selection criteria.

본 연구는 밤나무 교잡종 11조합으로부터 조합별 및 개체별 과실의 양적형질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합별 과실형질에 대한 평균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평균 착구수와 과실수확량은 각각 주옥${\times}$대단파(JO)와 광은${\times}$대단파(KO) 조합이 우수하였으며 조합간 큰 차이가 없었다. 평균 입중은 은산${\times}$대단파(EO) 조합이 21.1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과실형태는 모든 조합에서 종경에 대한 횡경비가 1.23-1.13인 타원형으로 EO조합이 뚜렷한 타원형인 반면 JO 조합은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이었다. 열과율은 은산${\times}$이평(ER)과 JO 조합이 각각 30.0%, 27.5%로 높아 과실 품질이 불량한 개체가 많았고 다배율은 대단파${\times}$광은(OK) 조합이 1.7%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대${\times}$이평(IR) 조합 등 5조합이 평균 5% 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도는 ER 조합이 16.3%로 감미가 매우 높았으며 경도는 이평${\times}$광은(RK) 조합이 $10.0kg/cm^2$로 가장 우수하였다. 과실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착구수는 과실수확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당도와 입중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입중은 열과율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반면 당도와 경도에 대해서는 매우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열과율과 다배율간에도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도에 대한 다배율과 당도와도 각각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착구수와 총수확량, 입중, 열과율, 다배율에서 모두 우수한 개체는 모두 8개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8개체의 평균 착구수는 전체 평균 보다 1.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형질인 수확량과 입중, 열과율, 다배율에서는 1.49, 1.19. 6.17, 5.62배 각각 증가하였으나 당도와 경도의 평균은 0.88와 0.94로 각각 12%, 6%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우석. 2003 한반도 식생사. 아카넷. p.73
  2. 김기철 1990. 신품종 밤나무의 육종학적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13
  3. 김만조, 이 욱, 황명수, 김선창, 이문호. 2003. 밤나무 재배품종의 개화. 결실 및 과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2(4) : 321-332
  4. 김선창, 김만조. 2001. 밤나무 재배관리 기술. 임업연구원. pp. 125
  5. 김선창, 김만조, 황명수, 이문호. 2003. '감나무 품종육성 배경과 성과. 임업연구원 산림과학논문집 66: 145-158
  6. 김선창. 1993. 밤나무 주요 품종 및 교배조합별 결실특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3-25
  7. 산림청. 2003. 임업통계연보. 산링청
  8. 안창영, 황명수, 김기철, 김선창. 1990. 밤나무교배 차대검정에 의한 우량개체 선발. 임육연보 26: 84-89
  9. 안창영, 황명수, 홍성호. 1996. 밤나무 교배차대의 수확기외 과실 형질 유전. 임육연보 32: 42-47
  10. 안창영. 2000. 밤나무 육종연구 동향 및 금후계획. 월간 임업정보 116: 257-260
  11. 이문호, 황석인, 홍성호. 1994. 국내분포종 호도나무의 과실 및 엽 특성. 임육연보 30: 41-50
  12. Bolvansky, M. and L. Mendel. 1999. Results of the first controlled crosses in European chestnut in the Slovak Republic. Acta Horticulturae 494 : 309-316
  13. Kotobuki, K., T. Saito, Y. Kashimura and M. Shoda. 1999. Chestnut breeding program in National Institute of Fruit Tree Science, Japan. Acta Horticuiturae 494 : 323-326
  14. Lamkley. K.R. and M. Lee. 1993. Quantitative genetics, molecular marker and plant improvement. Proceeding of 10th Australian Plant Breeding Conference, Gold Coast, Australia, pp. 104-115
  15. Miller. G., D.D. Miller and R.A. Jaynes. 1996. Chestnuts. pp 99-123. In. Janick. J. and J.N. Jaynes. Fruit breeding, Vol. 3. Nuts. Wiley, New York
  16. Mchlenbacher. S.A. 2003. Progress and prospects in nut breeding. Acta Horticullurac 622 : 57-79
  17. 기상청. 2004. www.kma.go.kr/weather/climate/summ/sum_month_fram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