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oil Moisture and Weather (atmospheric) Conditions on the Fruiting of Sarcodon aspratus in Oak Stand

토양수분과 가상인자가 참나무림내 능이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Hee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e-S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ong-Eun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oo, Chang-Duck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In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Chang-Sop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Won-Sop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상희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부) ;
  • 김재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부) ;
  • 김홍은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부) ;
  • 구창덕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부) ;
  • 박재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부) ;
  • 신창섭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부) ;
  • 신원섭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부)
  • Received : 2005.05.28
  • Accepted : 2005.10.10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Sarcodon aspratus is well known as a natural edible mushroom and a symbiotic mycorrhizal fungus with oak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fruiting of S. aspratus on the hillslope of Wolak Mt., Jecheon city, Chungbuk, South Korea. Soil moisture and soil temperature in S. aspratus colony were measured hourly and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colony soil. The mean soil moisture during the mushroom development was 14.3% in the colony soil and 16.4% in the non-colony soil. The S. aspratus colony soils showed 2.1% less soil moisture. The mean soil temperature was $16.8^{\circ}C$ in the colony soil and $16.5^{\circ}C$ in the non-colony soil. The S. asprauts colony soils showed slightly higher temperature. It is considered that more soil water was consumed and more energy was emitted during the mycelial elongation and the mushroom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S. aspratus seems similar to that of T. matsutake which is known to be considerably affected by soil moisture,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and daily minimum soil temperature. The season of S. aspratus development ranges from the end of August to the beginning of October. And Ellino phenomenon and its unusual change in the weather seems to affect primodia and fruiting body development. Especially if daily minimum soil temperature continues to become higher than $20^{\circ}C$, the damage of primodia and its fruiting body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field plots during the last few years recently.

능이(Sarcodon aspratus)는 자연산 식용버섯으로 참나무와 공생하는 균근성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토양수분과 기상인자가 능이 발생에 미치는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월악산내에 2개소를 선정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의 토양수분과 기상인자를 조사하여 능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능이 발생지와 비발생지의 토양수분과 지온을 1시간 간격으로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능이 발생 전후의 토양수분은 능이 발생지의 평균토양수분이 14.3%이고, 능이 비발생지의 평균토양수분은 16.4%로 능이 발생지의 평균토양수분이 2.1% 낮은 경향이었다. 능이 발생지의 평균지중온도는 $16.8^{\circ}C$이고, 능이 비발생지의 평균지중온도는 $16.5^{\circ}C$로 큰 차이는 없으나 능이 발생지의 평균지중온도가 $0.3^{\circ}C$ 높게 유지되었다. 능이의 발생에는 토양수분, 일최고온도, 일최저온도, 일최저지온이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며 송이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능이의 발생시기는 8월말~9월초에서 10월 초순경까지 발생하며 최근 기상이변과 엘리뇨 등의 영향으로 발생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많았다. 송이의 경우와 같이 능이 발생이후에 일최저지온이 $20^{\circ}C$ 이상으로 유지되는 일수가 지속되면 원기생성과 능이 자실체 생장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안석, 차동열, 김양섭, 박용환, 유창현. 1989. 송이 (Tricholoma matsutake)생산과 관련되는 기후특성분석. 한국균학회지. 17(2):51-56
  2. 구창덕, 김재수, 박재인, 가강현. 2000. 송이와 소나무간의 공생관계에서 외생균근의 시-공간적 구조변화. 한국 임학회지. 89(3): 389-396
  3. 구창덕. 2000. 송이생산과 소나무 연륜생장과의 상관관계. 한국임학회지. 89(2): 232-240
  4. 김상효, 박창서, 유관식, 오동식, 엄기태. 토양수분에 대한 경사의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 33
  5. 김양섭. 2004. 한국의 버섯-식용버섯과 독버섯.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467pp
  6. 김홍은 외 2001. 능이의 임지재배 기술 및 기능성 개발.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p. 7-13
  7. 김홍은, 구창덕, 김재수, 박재인, 신원섭, 신창섭. 2002a. 참나무 임분 토양내 능이 외생균근 집단의 생태적 특정. 한국임학회지. 91(4): 457-464
  8. 김홍은 외 16인. 2002b. 능이의 임지재배 기술 및 가능성 개발 최종보고서. 충북대학교. p. 46-50
  9. 박완희. 2003 버섯, 교학사. 287pp.
  10. 박재인, 구창덕, 김홍은, 신원섭, 신창업, 김재수. 2000. 제1능이, 능이의 생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p.225-228
  11. 성재모, 유영복, 차동열. 1998. 버섯학. 교학사
  12. 이상희, 김재수, 박재인, 구창덕, 김홍은, 신창섭. 2002. 능이 발생지에서 토양수분의 변화.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 218-220
  13. 이태수 외. 1999. 송이증수 및 인공재배 연구. 임업연구원. p.81-89
  14. 조덕현. 2001. 버섯, 지성사
  15. 조덕현, 이경준. 1995. 29개 지역의 10년간 송이발생림의 기상인자와 송이발생량과의 상관관계. 한국임학회지. 84(3): 277-285
  16. 富永保人. 1976. 松栮の 生活史と栽培法に 關して. 廣島農業硏究. 12: 19-39
  17. Campbell Scientific, Inc. 1997. PC208W Datalogger Support Software Instruction Manual
  18. D.M. Beyer, K.M. Lomax and R.B. Beelman. 2000. The use of Time Domain Reflectometry to monitor water relations in mushroom substrate and casing. Science and Cultivation of Edible Fungi. p. 34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