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tial Factors on Text Readability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자기안내식(自己案內式) 해설판(解說板) 글자의 가독성(可讀性)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들

  • Received : 2005.05.18
  • Accepted : 2005.11.16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Readability, an indicator measuring the easiness of reading letters,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communicative effectiveness of self-guided sign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etter design elements of self-guided signs influence on readabilit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ore effective sign design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of 2003 at a self-guided trail of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A total of 375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94.7% of the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mong the total of 19 attributes, five attributes such as number of letters, number of type styles, ratio of picture area on the signs, space between letters, type size influenced on readability. These five attributes explained 50.0% of the variation in readability. The number of letters was the most influential attributes on readability, followed by the number of type styles, ratio of picture area on the signs, space between letters, and type size. The effectiveness of signs may be efficiently increased by managing these five major attributes with more concern.

글자의 읽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가독성은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정보전달 수단으로서의 효과성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글자디자인 구성요소들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해설판 디자인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03년 8-11월중 내장산 국립공원 내 자연탐방로 방문객 중에서 선정된 총 375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탐방로 주변에 설치된 해설판의 글자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 중 94.7%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총 19개 속성 중 5개의 속성, 즉 글자수, 글자체의 수, 전 해설판에서 그림이 차지하는 면적율, 글자간격 및 글자크기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속성의 가독성에 대한 설명력은 글자수, 글자체의 수, 그림 면적율, 글자간격, 글자크기 순으로 크게 조사되었다. 이들 5개 속성이 해설판 가독성의 50.0%를 설명하였다. 해설판의 가독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들에 대한 보다 큰 관심과 관리노력을 집중시킴으로써 해설판의 효과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강연아. 1999. 한글 활자체(typography)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인쇄매체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가독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8
  2. 기도형. 1998. 승용차 combination meter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색상 설계. 산업공학 11(2): 139-147
  3. 김기중. 1997. 가로쓰기와 리더빌리티 관계에 대한 서술적소고. 출판잡지연구 5(1): 19-32
  4. 김덕룡. 1999. 인터넷 신문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디자인논문집 4: 5-26
  5. 김성일, 황영현. 1997. '스스로 알아보는' 안내 해설판의 교육적 효과. 환경교육 10(2): 213-227
  6. 김지현, 김영호, 김민정. 2001. 서울거리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1): 65-72
  7. 김창희. 1994. 한글인식과정에서의 안구운동 특성분석.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48
  8. 김해옥. 1970. 읽기 난이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75
  9. 백승엽, 조암. 1988. 자동차번호표(보통번호표) 숫자의 가독성에 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7(1): 13-20
  10. 석금호. 1994. 타이포그라픽 디자인. 미진사 pp. 277
  11. 손종은, 송형섭. 2000. 자가안내식 환경해설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산림 휴양연구 4(3): 43-54
  12. 손종은, 송형섭. 2002.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효과 분석: 홍릉수목원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1(6): 742-749
  13. 송 현. 1985. 한글자형학. 서울. 월간디자인출판부. pp. 208
  14. 신대균. 2001. 읽기 형태, 줄길이, 줄간격이 웹브라우저에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7
  15. 안상수. 1980.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6
  16. 오주환, 임상원. 1971. 신문의 한글전용이 독자의 독서 행위에 미치는 영향. 신문학보 4: 16-38
  17. 이수정. 1993. 한글의 글자꼴과 글줄길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0
  18. 이영길. 1998. 초등학교 교과서 본문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8
  19. 이영현, 고형주, 김명렬. 2001. 웹기반 평가를 위한 사용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4(2): 125-133
  20. 이창민, 이윤홍. 2001. 판독성 향상을 위한 자동차 번호판의 개선에 관한 연구. IE Interfaces 14(3): 296-301
  21. 인숙경. 1989. 신문의 시대변천에 따른 가독성 요소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5
  22. 임의도. 1965. 한글의 읽기 쉬움에 미치는 몇가지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35
  23. 전경수. 1999a. 내장산국립공원지역의 환경해설판에 의한 해설기능 평가. 원광대 생명자원과학연구 21: 104-109
  24. 전경수. 1999b. 환경해설판의 해설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산림휴양연구 3(1 & 2): 29-38
  25. 정동욱. 1996. TV-Program 서체의 시각전달 효과를 위한 연구. 시각디자인학 연구 1: 119-129
  26. 정재우. 1997. 영상매체에 구현되는 한글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PC 모니터에서 표현된 한글을 중심으로. 한성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0
  27. 최성규. 1995.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독서재 요소의 연구: 시사월간지의 본문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7: 285-303
  28. 황우상, 이동춘, 이상도, 이진호. 1997. VDT화변에서 한글의 글자크기와 서체에 따른 탐색속도와 오류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6(2): 29-38
  29. 황진희. 1982. 한글의 본문용 문자체와 그 가독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4
  30. 김상오 미발표. 자기안내식 해설판 글자의 가독성과 선호도 및 방문객 해설판 읽기의도에 관한 연구
  31. Bell, T.P. 1993. Beyond visual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y Teacher 52: 9-12
  32. Dillon, A. 1992. Reading from paper versus screens: a critical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Ergonomics 35: 1297-1326 https://doi.org/10.1080/00140139208967394
  33. Duchnicky, R.L. and Kolers, P.A. 1983. Readability of text scrolled on visual display terminals as a function of window size. Human Factors 25: 683-692
  34. Dyson, M.C. and Kipping, G.J. 1998. The effects of line length and method of movement on patterns of reading from screen. Visible Language 32: 150-181
  35. Ernst, S.B. 1977. The ABC's of Typography. New York: Art Direction Book Co. pp. 188
  36. Garcia, M.L. and Caldera, C.I. 1996. The effect of color and typeface on the readability of on-line text.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and Industrial Engineering 31(1&2): 519-524
  37. Haley, A. 1991. All caps: A typographic oxymoron. Upper and Lower Case 18(3): 14-15
  38. Ham, S.H.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Golden, Colorado: North American Press. pp. 456
  39. Helander, M.G, Billingsley, P. and Schurick, J. 1984. An evaluation of human factors research on visual display terminal in the workplace. pp. 55-129. In: F.A. Muckier, ed, The Human Factors Review. Santa Monica, CA: Human Factors and Ergonomic Society
  40. Holt, E.B. 1903. Eye-movement and central anaesthesia. Psychological Monographs 4: 3-48
  41. Klare, G.R. 1963. The Measurement of Readability. Iowa: Iowa University Press. pp. 328
  42. McCormick, E.J. 1976.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McGraw-Hill. pp. 491
  43. Paterson, D.G and Tinker, M.A. 1947. Influence of leading upon readability of newspaper typ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1(2): 160-163 https://doi.org/10.1037/h0054188
  44. Ryder, J. 1979. The Case for Legibility. New York: The Moretus Press Inc. pp. 77
  45. Sallis, P. and Kassabova, D. 2000.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xperiments with e-mail readability. Information Sciences 123: 43-53 https://doi.org/10.1016/S0020-0255(99)00109-7
  46. Sanders, M.S. and McCormick, E.J. 1987.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6th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pp. 664
  47. Sharpe. G. W. 1982. Interpreting the Environ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694
  48. Shen, E. 1927. An analysis of eye movement in reading of Chines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 158-183 https://doi.org/10.1037/h0075609
  49. Smither, J.A. and Braun, C.C. 1994. Readability of prescription drug labels by older and younger adul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1(2): 149-159 https://doi.org/10.1007/BF01999743
  50. Sorg, J.A. 1985. An exploratory study of type face, type size, and color paper preferences among older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p. 53
  51. Strong, E.K. 1926. Values of white space in advertis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March): 107-116 https://doi.org/10.1037/h0071471
  52. Tinker, M.A. 1955. Prolonged reading tasks in visual research.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9(6): 444-446 https://doi.org/10.1037/h0041553
  53. Tinker, M.A. 1963. The legibility and eye-movement in reading. Psychological Bulletin 24: 621-639 https://doi.org/10.1037/h0072552
  54. Trapp, S., Gross, M. and Zimmerman, R. 1991. Signs, trails, and wayside exhibits Connecting people and places. Stevens Point, Wisconsin, USA: UW-SP Foundation Press, Inc. pp. 106
  55. Watannabe, R.K. 1994. The ability of the geriatric population to read labels on over-the-counter medication containers. Journal of the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65(1): 32-37
  56. Wilkins, A.J. and Nimmo-Smith, M.I. 1987. The clarity and comfort of printed text. Ergonomics 30(12): 1705-1720 https://doi.org/10.1080/00140138708966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