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uced sulfur gas loss in the bag sampling procedure - Comparison by calibration slope values

악취황 성분의 채취와 샘플백 내부의 시료 유실율 비교: 검량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평가

  • Kim, K.H. (Center for Environmental Research, Kyung Hee University) ;
  • Choi, Y.J. (Atmospheric Environment Laboratory,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Ahn, J.W. (Atmospheric Environment Laboratory,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김기현 (경희대학교 환경연구센터) ;
  • 최여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 안지원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Received : 2005.04.07
  • Accepted : 2005.06.27
  • Published : 2005.08.25

Abstract

In this work, sample los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wa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bag sampling techniques. For comparison purpose, calibration slopes were obtained by analyzing standards prepared by 'within syringe dilution' (WSD) method against those made either by 'Tedlar bag dilution' (TBD) or by 'polyester aluminum bag dilution' (PBD)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covery rate of TBD showed the mean values of about 87%, while those of PBD about 77%. Despite the fact that sample loss is inevitable, precise sampling of reduced sulfur compounds may still be possible, if one acknowledges and be prepared for such loss rates of bag sampling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실온조건에서 황성분의 채취에 사용하는 두 가지 백 방식의 시료회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스-타잇 주사기 내부에서 원표준시료를 희석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비하여 테들러 백이나 플리에스터 백으로 희석한 표준시료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확보하였다. 가스타잇 주사기로 확보한 검량선과 백으로 확보한 검량선의 기울기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백방식의 시료 손실 또는 회수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테들러 백의 경우 평균 87%의 회수율, 폴리에스터 백의 경우 평균 77% 수준의 회수율이 관측되었다. 결과적으로 백방식으로 시료를 채취할 경우, 시료의 손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백방식의 현장시료 채취를 할 경우, 시료의 손실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인자들을 동시에 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K.-H. Kim, Y. J. Choi, E. C. Jeon and Y. Sunwoo, Atmos. Environ., 39(6), 1103(2005)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4.09.056
  2. K.-H. Kim, Y. J. Choi, J. H. Sa, E. C. Jeon and Y. S. Koo, Reduced sulfur compounds as malodor components in the ambient air of landfill environment, Biogeochemistry, (submitted)
  3. H. J. Zemmelink., W. W. C. Gieskes, P. M. Holland and J. W. H. Dacey, Atmos. Environ., 36, 911(2002) https://doi.org/10.1016/S1352-2310(01)00535-0
  4. W. C. Kuster and P. D. Goldan, Environ. Sci. and Tech., 21, 810(1985)
  5. K.-H. Kim, Atmos. Environ., 39(12), 2251(2005)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4.09.056
  6. 김기현, 오상인, 최여진, 환경대기 중 악취성분 황화합물(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에 대한 표준작업지침서 1- 고농도 모드를 중심으로. 첨단환경기술. 1월(2004a)
  7. 김기현, 오상인, 최여진, 환경대기 중 악취성분 황화합물(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에 대한 표준작업지침서 2- 저농도 모드를 중심으로. 첨단환경기술. 1월(2004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