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Successional Trends by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 유형별 천이 경향 분석

  • Jin, Guang Ze (Department of Ecology, Northeast Forestry University) ;
  • Kim, Ji Ho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광택 (중국 동북임업대학 생태학과) ;
  • 김지홍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Received : 2005.06.21
  • Accepted : 2005.11.30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Having employed the transitional probability model based on Markov chain,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successional trends for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oncoming generation in overstory was estimated from that of mid-story, and the species composition in mid-story was based upon that of understory. Successional trend for each community was predicted from the reorganized probability matrix of tree replacement by the square of climax index, which was evaluated by the factors of light absorption, reproduction, and wood quality. As the result of analysis, following table shows the oncoming generation of steady state and dominant species in overstory and mid-story by community types. Even though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could hardly reach the canopy layer due to the intrinsic growth form, these species were predicted to maintain high compositional ratio so as to play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the study forest ecosystem.

이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 유형별 천이 경향을 보다 합리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Markov chain의 이론을 응용한 추이확률 모델을 이용하여, 중층의 수종구성으로부터 상층의 수종 구성을 추정하였고, 하층의 수종구성으로부터 중층의 수종 구성을 추정하였다. 개체수 비율로 작성된 대치확률행렬에 개개 수종의 광선 흡수 요인, 번식 요인 및 목재의 이학적 성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극성상지수의 제곱을 가중치로 주어 대치확률행렬을 재구성하여 임분의 천이경향을 예측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한 각 군집별 안정상태 시기와 상층 및 중층 예측 우점수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당단풍과 까치박달은 생활형의 특성 때문에 상층으로 도약하기는 어렵지만, 높은 구성 비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됨으로서 연구대상 산림생태계에서 생태학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기. 2000.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 석사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 61pp.
  2. 金光澤. 2004.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유형별 생태적 구조 및 동태 분석. 박사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 139pp.
  3. 金光澤, 唐艶, 김지홍. 2002. TWINSPAN 에 의해 분류된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구조 해석. 한국임학회지 91(4): 523-534
  4. 김지홍. 1992. 추이행렬 모델에 의한 오대산 침엽수-젓 나무속 혼효림의 천이 경향 분석. 한국임학회지 81(4): 325-336
  5. 김지홍. 1993. 생태형태학적 특성 분석에 의한 활엽수종의 극성상지수 추정. 한국임학회지 82(2): 176-187
  6. 윤종화, 한상섭, 김지홍. 1987. 원시림의 환경과 구조에 관한 연구. 연습림 연구보고 7: 3-26,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연습림
  7. 이원업. 1999.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지에 따른 천이 경향 분석. 석사 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 경영학과, 42pp.
  8. 이창복. 1982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9. 陽含熙, 仾業鋼. 1988. 長白山自然保護區闊葉紅松林林木种屬組成, 年齡結拘更新策略的硏究. 林業科學 24(1): 17-18
  10. 邵國凡, 趙士洞, 舒?特. 1995. 森林動態模擬-兼紅松優經營. 中國林業出版社. 北京. 中國. pp. 159
  11. Barbour, M. G, Burk, J. H. and Pitts, W. D.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Inc. Menlo Park, California, U.S.A. pp. 634
  12. Barden, L. S. 1981. Forest development in canopy gaps of a diverse hardwood forest of the southern Appalachians. Oikos 37: 205-209 https://doi.org/10.2307/3544466
  13. Binkley, C. S. 1980. Is succession in hardwood forests a stationary Markov process? Forest Science 26: 566-570
  14. Cho, D.S. 1999. Population dynamics of Quercus mongolica in Mt. Jombong. Korean Journal of Ecology 22(6): 355-361
  15. Enright, N, and Ogden, J. 1979. Application of transition matrix models in forest dynamics : Araucaria in Papua New Guinea and Nothofagus in New Zealand. Austria Journal of Ecology 4: 3-23 https://doi.org/10.1111/j.1442-9993.1979.tb01195.x
  16. Horn, H. S. 1971. The Adaptive Geometry of Tre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U.S.A. pp. 144
  17. Horn, H.S. 1975. Forest succession. Scientific American 232: 90-98
  18. Miles, J., French, D. D., Xu, Z. B. and Chen, L. Z. 1985. Transition matrix models of succession in stand of mixed broadleaved-Pinus koraiensis forest in Changbaishan, jilin Province, North-east China. Journal of Environment and Management 20: 357-375
  19. Van Hulst, R. 1980. Vegetation dynamics or ecosystem dynamics: dynamics sufficiency in succession theory. Vegetatio 43: 147-151 https://doi.org/10.1007/BF00121027
  20. White, P. S., Mackenzie, M. D. and Busing, R. T. 1985. A critique on overstory/understory comparisons based on transition probability analysis of an old growth spruce-fir stand in the Appalachians. Vegetatio 64: 37-45 https://doi.org/10.1007/BF00033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