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orphic Processes of the Terraces at Lower Reach of Yeongpyeong River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열곡 영평천 하류 단구지형의 형성과정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Gwang-Ryul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Nam-Shin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민부 (한국교원대 지리교육과) ;
  • 이광률 (한국교원대 통일교육연구소) ;
  • 김남신 (한국교원대 통일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In the Yeongpyeong River, one of the branches of Hantan River, there 4 fluvial terraces are identified. During the Quaternary, lava flow from Hantan River had gone 4.5km into upstream Part of the Yeongpyeong River and damed its entrance, and resultantly its lower basin had become a lava-damed paleolake. This study deals with fluvial terrace surface classification, stratigraphic analysis, deposits analysis, and OSL age dating in from Gungpyeongri to Seongdongri in lower reach of Yeongpyeong River, in order to identify Seomorphological Process of the terrace landforms relating to duration of lava-damed paleolake. Terrace surface T4, named Baekeuiri Formation, has been located under Jeongok lava layer to indicate pre-lava river bed. Terrace surfaces T3 and T2 are supposed to be formed during paleolake time, based on $3{\~}4m$ thick sand deposits including pebble and cobble layers, and clay and silt layers intersected with sand ones in nearly horizontal bedding. Terrace T1 is estimated to be formed as post-lake fluvial terrace after dissection of lava dam, based on the more fresh phase of deposits and very low height from present riverbed. The results of the OSL age dating for the T3 deposit layers indicate approximately $33{\~}40ka$, and still lake phase at that time.

한탄강의 지류인 영평천 하류에는 T4면에서 T1면까지 4단의 단구 지형면이 확인된다. 이 일대에는 신생대 제4기에 영평천의 하구로부터 약 4.5km까지 용암류가 역류하여 용암댐에 의한 고호소가 형성되었다. 본 논문은 성동리에서 궁평리까지의 영평천 하류에 분포하는 단구면의 퇴적층에 대한 층서 및 퇴적물 분석과 OSL 연대측정을 통하여 단구지형의 형성과정을 검토하였다. 가장 오래된 T4면은 용암대지 하부에 위치한 고호소 이전의 하성층이다. T3면과 T2면은 $3{\~}4m$ 이상의 두꺼운 모래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하부에는 역층이 존재하며, 상부 모래층은 내부에 수평의 점토층이 교호하고 있어, 용암댐 고호소 상태에서 이루어진 호성단구로 파악된다. T1면은 하상 비고가 가장 낮고 퇴적물이 신선한 것으로 보아서 용암댐 개석 이후에 형성된 하성층으로 보인다. T3면에서 실시된 OSL 연대측정의 결과, 퇴적층의 형성시기는 약 $3{\~}4$만년 전으로 측정되어, 이 일대는 용암댐 형성이후 3만년 전까지 호소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한.김옥준.민경덕.이윤수, 1984, '추가령 지구대의 지질구조, 고지자기 및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7(3), 215-230
  2. 라우텐자흐, 1945(김종규 외 역, 1998), 코레아, 민음사
  3. 신재봉.유강민.Toshiro Naruse.Akira Hayashida, 2004, '전곡리 구석기 유적 발굴지인 E55S20-IV 지점의 미고결 퇴적층에 대한 뢰스-고토양 층서에 관한 고찰,' 지질학회지, 40(4), 369-381
  4. 신재봉.Toshiro Naruse.유강민, 2005, '뢰스-고토양 퇴적층을 이용한 홍천강 중류에 발달한 하안단구의 형성시기,' 지질학회지, 41(3), 323-333
  5. 양교석, 1982, '추가령열곡대 내 한탄강 하류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 13-25
  6. 원종관, 1983, '한반도에서의 제4계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추가령 열곡내에서-,' 지질학회지, 19(3), 159-168
  7. 이광률.박충선, 2005, '자갈 및 암설의 풍화각 두께와 풍화 시간 사이의 관계,' 한국지형학회지, 12(3), 13-27
  8. 이광률.윤순옥, 2003, '홍천강 하안단구의 형성시기별 역풍화 특성,' 지질학회지, 39(4), 431-444
  9. 이대성.유기주.김광호, 1983, '추가령곡의 지구조적 해석,' 지질학회지, 19(1), 19-38
  10. 이민부,이광률, 2003,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상류와 독서당천의 고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45-358
  11.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5, '추가령 열곡 내 포천 이동 선상지의 지형 형태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2(2), 1-10
  12. 이민부.이광률.윤순옥.황상일.최한성, 2001, '추가령 구조곡 연천 단층대에 분포하는 합류 선상지의 퇴적 환경 분석,' 지질학회지, 37(3), 345-364
  13. 이선복, 2005,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형성에 대한 신자료,' 한국지형학회지, 12(3), 29-48
  14. 임만빈, 1984, 한탄강 유역의 화산암류에 대한 지질공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전용목, 1979, 한탄강 연안의 지형발달에 관한 연구,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최무장, 1982, 'Report of The Third Excavation in Cheon-Kok Paleolithic Site,' 건국대학교, 인문과 학논총, 14, 207-238
  17. Burr, T. and Currey, D. R., 1992, Hydrographic Modelling at the Stockton Bar, in Wilson, J. R.,(ed.), Field Guide to Geologic Excursion in Utah and Adjacent Areas of Nevada, Idaho and Wyoming: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Utah Geological Survey, Miscellaneous Publication, 92(3), 207-219
  18. Currey, D. R., 1980, Coastal Geomorphology of Great Salt Lake and Vicinity, in Gwynn, J. W. (ed.), Great Salt Lake: A Scientific, Historical and Economic Overview, Utah Geological and Mineral Survey Bulletin, 116, 69-82
  19. Davis, W. M. 1933, The Lake of California, Calif. J. Mines Geology, 29, 175-236, In Wetzel, R. G. (ed.), 2001,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Academic Press, p.25
  20. Gilbert, G. K., 1890, Lake Bonneville, U.S. Geological Survey Monograph 1, Washington, D. C., Government Printing Office
  21. Harris, A. G., Tuttle, E. and Tuttle, S. D., 2004, Geology of National Parks,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22. Pederson, J. L., 2000, Holocene paleolakes of Lake Canyon, Colorado Plateau: Paleoclimate and Landscape Response from Sedimentology and Allostratigraphy, Geograph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12(1), 147-158 https://doi.org/10.1130/0016-7606(2000)112<0147:HPOLCC>2.3.CO;2
  23. Staratford, V. C., 1999, Coastal Landforms and Relict Features of Lake Bonneville - A Literature Review, in Geology of Northern Utah and Vicinity, Utah Geological Association Publication 27, 367-278
  24. Starkel, L., 1991, The Vistula River Valley: A Case Study for Central Europe, In Starkel, L., Gregory, K . J. and Thornes, J. B.(eds.), 1991, Temperate Paleobydrology, John Wiley & Sons, 171-188
  25. Wetzel, R. G., 2001,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