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항성 도전 장애 아동과 연관된 공존 증상 및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연구 -

COMORBIDIT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 WHO HAVE THE SYMPTOM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COMMUNITY BASED STUDY -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 정광모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 홍강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Institute) ;
  • Jung Kwang-Mo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Institute) ;
  • Cho Soo Churl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Institute) ;
  • Hong Kang-E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Institute)
  • 발행 : 2005.03.01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반항성 도전장애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이하 ODD)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역학적 특징, 공존 정신병리 및 환경적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근교의 지방도시(부천시)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초등학생 98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모든 정보는 부모로부터 얻었다. 우선 DSM-III-R과 DSM-IV에 의한 파탄적 행동 평가척도를 통해 대상군을 선정하였고, 나머지 군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소아행동조사표, 아동성격척도를 통해 아동 문제 및 기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가족적응/결속척도, 가족기능/만족도척도를 통해 가족 기능을 평가하였고, 동시에 임신-분만-주산기 문제들을 조사하였다. 두 군간의 차이는 t-검정과 $\chi^2$-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ODD군 아동은 대조군에 비해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의 모든 소항목과 파탄적행동장애평가표(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 DBDS)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전반적인 공존 정신병리가 심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가족 결속력, 가족 기능/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임신-분만-주산기 문제 중에서는 임신기의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 임신 중 약물 복용, 산후 우울증 빈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성격척도에서는 ODD군이 보다 높은 위험회피성, 새것추구성을 보이는 것에 반해 보상의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ODD를 독립된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시행된 첫번째 지역사회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들에게 임신-분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과 가족 기능으로 대표되는 심리-사회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이 동시에 증상 발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우울, 불안 등의 다양한 공존 병리를 보여 ODD에 동반된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ODD의 질병 경과를 파악하고 위험 요인간의 상호관계를 밝히며 공존 병리 존재 시 치료 모델을 확립하기 위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Objectives : To acquire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w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have the symptoms of ODD in community sample. Methods : 1200 children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Bucheon (an urban community near Seoul) were recruited by randomized sampling method. By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according to DSM-III-R & DSM-IV, we evaluated the symptoms of ODD and selected subjects with ODD. Psychiatric comorbidity, character trait were compared in subjects with ODD and comparison group. Also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prenatal/perinatal risk factors, family functions and the symptoms of ODD. Data were analyzed by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 using SPSS 11.5 window version. Result : Children with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we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psychiatric comorbidity and significantly greater family dysfunction compared to comparison group. Among the prenatal/perinatal risk factors, severe emotional stress during pregnancy, postpartum depression, medication during pregnancy were revealed as risk factors of ODD. In character inventory, ODD group were evaluated to have high score in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but low in reward dependenc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pport that 1) prenatal/perinat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could be a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ion of ODD, and 2) children with ODD have diverse comorbid psychiatric sympto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