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j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ting Quality in Waxy Corn Hybrids

찰옥수수 교잡종의 식미관련 주요 특성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lectable criteria in evaluating waxy corn $F_1$ hybrids for developing good eating quality waxy corn variety.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analysis of 6 waxy corn $F_1$ hybrids - Chalok1, Chalok2, Heugjeomchal,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showed a range of $11.2\~13.1\%$ for crude protein, $5.1\~6.0\%$ for crude fat, $91.8\~92.6\%$ for amylopectin, and $4.5\~6.6\%$ for free sugar content. The pericarp thicknes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tenderness in waxy corn was ranged $34\~47{\mu}m$ in 4 waxy corn hybrids - Yeonnongl, Chalok4, Suwon45, and Heugjeomchal. On the other hand, it was ranged $64\~81{\mu}m$ in Chalok1 and Chalok2. The amylogram analysis by rapid visco analyzer showed that in fresh waxy corn hybrid (DAP25), all amylogram properties except setback were higher in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compared to those of Chalokl, Chnlok2, and Heugjeomchal. However, in matured waxy corn hybyids (DAP45), the result was the opposite - the amylogram properties were higher in Chalokl, Chalok2, and Heugjeomchal than those of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The texture analysis showed that gumminess, chewiness, and hardness increased dramatically with the time after the cooking in Chalokl and Beugjeomchal. On the other hand, these above pyoperties did not change as rapidly with the time in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Gumminess, chewiness, and hardness did not increase much within 6 hours after steamingr but increased significantly 32 hours after steaming. Therefore, we have reached a conclusion that texture analysis of cooked waxy corn should be carried out 6 hours after steaming. In the sensory evaluation, Yeonnongl, Chalok4, and Suwon45 revealed higher palatability -6.8, 7.1, and 6.9 respectively - than. that of Chnlokl, Chalok2, and Heugjeomchal. The palatability analysis of 6 waxy corn hybrids showed palatability positively correlating with free sugar content,100-kernel weight, kernel length, kernet width, and consistency, but negatively correlating with pericarp thicknes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풋찰옥수수 $F_1$ 교잡종들을 대상으로 식미관련 주요 특성분석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고품질 찰옥수수 품종육성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찰옥1호 등 6개 $F_1$ 교잡종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11.2\~13.1\%$, 지방 $5.1\~6.0\%$, 아밀로펙틴 $91.8\~92.6\%$, 유리당 $4.5\~6.6\%$ 범위에 속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찰옥1호가 가장 높았고 연농1호가 가장 낮았으며 지방은 찰옥1호, 연농1호가 낮았고 수원45호가 높았으며 아밀로펙틴 함량은 유의성이 없었다. 유리당 함량은 찰옥4호가 가장 높았다. 2. 과피두께는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흑점찰이 $34\~47{\mu}m$로 얇은 반면 찰옥1호, 찰옥2호 등은 $64\~81{\mu}m$로 두꺼웠으며 100립중은 수원45호가 가장 무거웠고(41.9g), 흑점찰이 가장 가벼웠다(27.8 g). 3. 아밀로그램 분석은 풋옥수수 상태(DAP25)에서는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등이 최고, 최저, 최종점도 및 강하점도, 응집점도의 값이 모두 찰옥1호, 찰옥2호, 흑점찰 보다 높게 나온 반면 종실용 상태(DAP45) 시료는 반대로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등이 낮게 나타났다. 4. 풋옥수수를 증자 후 시간대별 노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texture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화도의 차이가 교잡종 별로 뚜렷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대별로는 증자 후 6시간 까지는 품종 내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다가 6시간 이후 서서히 증가하면서 22시간 이후부터는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5. 전체적 기호도에 있어서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가 각각 6.8, 7.1, 6.9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고식미 교잡종들로 구분이 되었고 찰옥1호, 찰옥2호, 흑점찰 등은 5.0, 5.6, 4.5의 낮은 값을 보였다. 6. 찰옥수수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지분포를 분석한 결과 DP값에 있어서 b1 fraction$(DP\geq12)$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각 fraction별로 교잡종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아 본 시험에서는 식미의 차이가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아밀로펙틴 분지분포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관능검사의 전체적 기호도는 유리당, 백립중, 립장, 림폭, 응집점도 등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과피두께, 경도, 껌성, 씹힘성 등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기준을 설정해 보면 저식미 교잡종인 찰옥1호(100)를 표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고식미 교잡계인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의 유리당 함량은 $6.2\~6.6\%(111\~l18)$, 립장 $8.8\~9.7(99\~109)$, 립폭 $9.8\~10.5mm(111\~l19)$, 백립중 $38.6\~41.9g(113\~123)$, 아밀로그램의 응집점도 $28.2\~30.6RVU(123\~133)$, 과피두께 $34\~41{\mu}m(42\~51)$, texture 분석의 경도 $460\~513(43\~48)$, 씹힘성 $125\~139(51\~57)$, 껌성 $130\~148(49\~56)$의 범위에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 O.A.c.International 16th Edition. Vol.1I 32.1.13.
  2. Ball S., H.-P. Guan, M. James, A. Myers, P. Keeling, GMouille, A. Buleon, P. Colonna, and J. Preiss. 1996. Fromglycogen to amylopectin : a model explaining for thebiogenesis of the plant starch granule. Cell 86 : 349-352.
  3. Calvert Paul. 1997. The structur'ε of starch. Nature 389 : 338339.
  4. 최봉호, 이원구, 백만기, 이회봉, 박승의 . 1993. 식용 찰옥수수의 질김성에 관한 연구. 농업논문집(농업산학협동) 35 : 33-44.
  5. Hanashiro, I., J.Abe, and S. Hizukuri. 1996.A periodic distribution ofthe chain len햄I of amylopectin as revealed by hi양I-pe빼rmanceanion-exchange chromatography.Carbohydr.Res. 283: 151-159.
  6. 홍병희, 박문웅, 김석동, 최봉호, 홍은희, 허용웅. 1994. 전작물의품칠 고급화와 다양화 육종전략 한육지 26(S) : 16-35.
  7. 정태욱, 문현귀, 차선우, 김선림, 김성국, 손범영· 2001. 흰색과 검정색 찰옥수수의 품질관련 특성비교. 한육지 33(1) : 40-44.
  8. J버iano B.O. 1985. Criteria and tests for rice gr밍n quality, rice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Chemists p443-524.
  9. Kang Hee Jin, In Kyeong Hwang, Kyung Soo Kim, and Hae ChuneChoi. 2003. Comparative structure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ofllpumbyeo, a hi양I-quality japonica rice and its mutant, Suweon464. J. Agric. Food Chern. 51 : 6598-6603.
  10. 김선림, 김이훈, 손영구, 송정춘, 황종진, 허한순· 1999. 검정 찰옥수수 종실에서 안토시아닌 색소 분리 및 동정. 한육지 31(4) :408-415.
  11. 김선림, 박승의, 차선우, 서종호, 정태욱. 1994. 숙기에 따른 찰옥수수 및 초당옥수수의 주요 품질 특성 변화. 한작지 39(1) :73-78.
  12. 김우정, 구경형. 2001. 식품 관능검사. 도서출판 효일.
  13. 이인섭, 최봉호, 이원구, 이희봉. 1993. 찰옥수수 과피 두께에 관한유전. 한작지 38(6) : 489-494.
  14. 이미라, 김순권, 박혜숙, 김영환, 김형욱. 2002. Performance ofwaxy com hybrids of Korea. China and US Origin. 한국작물학회, 한국육종학회, 한국약용직물학회 공동심포지엄(경주).p140.
  15. 이승엽, 이영태, 강현중, 김현순, 김영두, 신현탁· 1996. 벼 심백변이 계통의 주요형질과 배유의 이화학적 특성. 한육지 28(4) :399-408.
  16. 임상종, 김달웅, 손재근, 이수관. 1995. 쌀 아밀로그램 특성의 품종변이와 식미관련 특성과의 상관. 한육지 27(3) : 268-275.
  17. Nishi, A., Y. Nakamura, N. Tanaka,and H. Satoh. 2001. Biochemicaland genetic analysis ofthe effects ofamylose-extender mutation inrice endosperm. Plant Physiol. 127 : 459-472.
  18. 박기진, 빅종열, 류시환, 고병대, 서정식, 민황기. 2004. 찰옥수수육성 자식계통의 주요 형질간 상관. 한국직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요지(경북대, 대구). 한작지 49(별2) p288.
  19. Purdy, J.L. and P.L. Crane. 1967. Influence of pericarp on differentialdηring rate in mature com. Crop Sci. 7: 379-381.
  20. 송정춘, 이.AJ-양'. 박남규, 정우경, 차선우. 1997. 냉동 찰옥수수의 해동시 품질변화에 관한 연구. 식량논문집 39(2) : 5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