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Experiment on AMD Treatment Using Apatite and Fish Bone at the Ilkwang Mine

인회석 및 생선뼈를 이용한 일광광산 AMD 처리 현장실험

  • Choi, Jung-Chan (Dep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정찬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 field test on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for AMD(Acid Mine Drainage) using fish bone and apatite, and to compare those results of the laboratory & the field tests. The duration of the field test was about one month and flow rates of AMD varied from 2.53 l/min to 12.8 l/min. From the result of the field test, removal efficiencies of apatite and those of fish bone are high for As, Fe, and Pb while those of fish born is higher than those of apatite far Al, Cd, Cu and Zn which are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previous laboratory test. In particular, average arsenic removal efficiency of apatite is higher$(84\%)$ than that of fish bone$(75\%)$ like the result of the previous laboratory test. In case of precipitates of phosphate compounds which are generated from chemical reaction between apatite/fish bone and AMD, those generated from apatite/AMD reactionform powder-shape while those created from fish bone/AMD reaction seem to be sludge. Therefore, apatite will be used as a precipitant for mine drainages having wide range of pH based on previous studies while fish bone will be applied as a precipitantfor AMD having lower PH and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본 연구의 목적은 일광폐동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AMD)내의 중금속에 대한 천연물질인 인회석 및 생선뼈의 현장에서의 제거효율을 평가하고 실내실험 견과와 비교하는 것이다. 현장실험 기간은 약 한 달이었으며 유속은 2.53-12.8 l/min 이었다. 현장실험 결과, 중금속 제거율의 경우 실내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As, Fe 및 Pb는 인회석 및 생선뼈와 반응한 물 모두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그 외 Al, Cd, Cu 및 Zn은 생선뼈와 반응한 물이 인회석과 반응한 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비소의 경우 실내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비소의 경우 평균제거율이 $84\%$로 생선뼈의 평균제거율 $75\%$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회석/생선뼈 및 AMD와 화학반응에 의해 형성된 인산염 침전물의 경우, 인회석 및 AMD와의 반응생성물은 가루형태이나, 생선뼈 및 AMD의 반응생성물은 슬러지 형태를 나타냈다.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회석은 광범위한 pH영역에서 광산배수의 침전제로 사용될 수 있고, 생선뼈는 pH가 낮은 고농도로 오염된 AMD에 사용하는 게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주성 (2000) 금은 광산활동에 의한 비소 및 중금속 환경오염과 광산폐기물 격리저장 처리기법.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p. 1-171
  2. 이기형 (2002) 일광폐광산 오염방지사업 시행사례. 2002년 광해방지 및 기술 심포지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1-15
  3. 최정찬, 이민희 (2004a) 천연물질을 이용한 AMD 및 ARD 내의 중금속 저감효율 실내실험 비교연구. 자원환경지질, 37권,p. 133-142
  4. 최정찬, 이민희 (2004b) 고로폐광산 침출수 처리대책 설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9권, p. 1-10
  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일광광산 광해방지사업 복구공사 감리 연구보고서, p. 1-332
  6. Choi, J.C. and West, T.R. (1995) Evaluation of phosphate pebbles as a precipitant for acid mine drainage treatment.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sciences, v. 1, GSA and AEG, p. 163-171
  7. Choi, J.C, West, T.R. and Seol, Y. (1997) Application of MINTQA2 to the Evaluation of Apatite as a Precipitant for Acid Mine Drainage Treatment.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sciences, v. 3, GSA and AEG, p. 217-223
  8. Hedin, R.S., Narin, R.W. and Kleinmann, R.P. (1994) Passive Treatment of Coal Mine Drainage. USBM, IC-3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