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thetic Value of the Neoclassic Style i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Fashion

$18\~19$세기 복식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양식의 미적 가치

  • Ham Youn-Ja (Dept. of Fashion Design, Dong-Eui University)
  • 함연자 (동의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neoclassic style i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fashion. Researching into philosophy and aesthetics i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oclassic style in fashion is considered the clarity of form, the utility of function, and the sensuality combined with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larify of form is found in geometric form based on anatomical truth of the human body in relation with rational and scientific thoughts. The utility of function is found in simple and suitable construction considering purely practical purpose of dresses. The sensuality combined with body is found in natural silhouette dress alluding naked body in connection with Rousseau' naturalism. Understanding aesthetic value of the neoclassic style will help to develop fashion designs associated with neoclassical forms.

Keywords

References

  1. Cassirer, Ernst 저, 박완규 역 (1995). 계몽주의 철학. 민음사. p. 11
  2. 이성훈 (1998). 신고전주의 예술의 미학이론. 건축문화, 8805. p. 98
  3. 이종훈 저, 김영한, 임지현 편 (1995). 로맨티시즘. 서양의 지적 운동. 지식산업사, p. 471
  4. Tartarkiewicz, W. (1998).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가 실천, pp. 343
  5. 김혜숙, 김혜련 (2003). 예술과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75
  6. Tartarkiewicz, W. (1998).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가 실천, pp. 161-162
  7. Tartarkiewicz, W. (1998).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가 실천, pp. 169
  8. Tartarkiewicz, W. (1998).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가 실천, pp. 346-347
  9. 竹內琡雄 저. 안영길 외 역 (2003). 미학 예술학 사전. 미진사. pp. 52-55
  10. 윤미숙 (1991). E. Burke의 숭고와 미의 분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11. 김혜숙, 김혜련 (2003). 예술과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77
  12.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 (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 87에서 재인용
  13.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 (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89-92
  14.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 (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95
  15.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 (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98
  16. Tartarkiewicz, W. (1998).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이론가 실천, pp. 187-189
  17.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101
  18. Cassirer, Ernst 저, 박완규 역 (1995). 계몽주의 철학. 민음사. p. 313-314
  19. Wokler, Robert 저, 이종인 역 (2001). 루소. 시공사, pp. 41-43
  20.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 (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114
  21. de Zurko. E. R.저. 윤재희 외 역 (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32
  22. Copleston, S. J. F. (1985). A history of philosophy. New York: Image Book. p. 116
  23. Lesnikowski, W. G. 저. 박순관 외 역 (1995). 합리주의와 낭만주의 건축. 국제. p. 82
  24. Summerson. John 저. 정태용 역 (1993). 18세기 건축. 태림문화사. p. 111
  25. Lesnikowski, W. G. 저. 박순관 외 역 (1995). 합리주의와 낭만주의 건축. 국제. p. 95
  26.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126
  27. Summerson. John 저. 정태용 역 (1993). 18세기 건축. 태림문화사. p. 124-129
  28. de Zurko. E. R. 저. 윤재희 외 역(1988). 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세진사, pp. 124
  29. Lesnikowski, W. G. 저. 박순관 외 역 (1995). 합리주의와 낭만주의 건축. 국제. p. 105-106
  30. Collins. Peter 저. 이정수 외 역 (1989). 근대 건축의 이념과 변화. 태림문화사. pp. 86-92
  31. Summerson. John 저. 조희철 외 역 (2002). 건축의 고전적 언어. 태림문화사. p. 102
  32. 이항렬 (1989). 신고전주의 건축의 발생적 의미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9
  33. Laver, James (1937). Taste and fashion. London: George G. Harrap & Company Ltd., pp. 13-18
  34. Hollander, Anne 저, 채금석 역 (1996). 의복과 성. 경춘사, pp. 115-121
  35. von Boehn, Max 저, 천미수 역 (2000). 패션의 역사. 한길아트, p. 208
  36. Laver, James(1995). Costume & fashion, London: Thames and Hudson. p. 149
  37. Bigelow, Marybelle S. (1979). Fashion in history.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mpany, p. 211
  38. Hollander, Anne 저, 채금석 역 (1996). 의복과 성. 경춘사, pp. 109
  39. McDowell, Colin (1997). The man of fashion. London: Thames and Hudson. p. 46
  40. Steel. Valerie (1988). Paris fashion: A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Univ. Press Inc., p. 48에서 재인용
  41. Laver, James (1937). Taste and fashion. London: George G. Harrap & Company Ltd., pp. 18
  42. Ribeiro, Aileen 저. Wilson E. 편(1999). Muses and mythology. defining dress. Manchester: Manchester Univ. Press, p. 104
  43. Hollander, Anne 저, 채금석 역 (1996). 의복과 성. 경춘사, pp. 132
  44. Laver, James (1937). Taste and fashion. London: George G. Harrap & Company Ltd., pp. 20-21
  45.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교문사, p. 75
  46. Black J. Anderson (1975). A history of fashion. New York: William & Co. Inc., p. 233
  47. Laver, James (1937). Taste and fashion. London: George G. Harrap & Company Ltd., pp. 20-21
  48. 채금석 (1996). 현대 남성수트의 변천과 미학적 특성. 복식, 30, p.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