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in Fatty Acid and Oxidative Stability of Frying Cultured Eel Bone during the Storage

저장 중 양식 뱀장어뼈튀김의 산화 안정성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 Hong Sun-Pyo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e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Young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e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g Eun-Jeong (Faculty of Bio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Dong-Hwa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e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홍선표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
  • 김선영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
  • 정은정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
  • 신동화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influence of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ing methods on the flying cultured eel bone were investigated. The acid values, peroxide valu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20$^{\circ}C\;and\;40^{\circ}C$ for 60 days. The lipid oxidation was rapidly progressed with the increased temperature. The addition of oxygen absorber remarkably repressed lipid oxidation during storage of the living cultured eel bone at $20^{\circ}C\;and\;40^{\circ}C$, followed by $N_{2},\;BHA,\;\alpha$-tocopherol and control. The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frying cultured eel bone, followed by saturated fatty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e major fatty acid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linoleic acid. The 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with the rise of storage temperature and prolonging the storage period, while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were decreased.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were the lowest in sample by packing with oxygen absorber, followed by packing $N_{2},\;BHA,\;\alpha$-tocopherol and control. from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sample by packing with oxygen absorber were rated as higher quality than the others.

본 연구는 양식 뱀장어뼈튀김의 저장 중 저장온도 및 포장방법에 따른 지질의 산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뱀장어뼈튀김은 $40^{\circ}C$$20^{\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산가, 과산화물가,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였는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지질의 산패는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중 $20^{\circ}C$보다 $40^{\circ}C$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circ}C$$40^{\circ}C$에서 저장한 뱀장어뼈튀김의 산화억제에는 탈산소제 처리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그 다음이 질소가스, BHA, 토코페를 순이었다. 뱀장어뼈튀김의 지방산 조성은 단일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고도불포화지방산 순으로 많았으며 주요 구성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다. 저장 중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러 처리구중 탈산소제를 동봉하여 포장한 뱀장어뼈튀김의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 토코페롤, BHA, 질소가스 처리구에 비하여 변화가 가장 적었다. 관능검사에서 색상, 향, 맛,조직,전반적이 기호도 등은 탈산소제 처리구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이 BHA, 질소가스, 토코페롤 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Ames, B.N., Hollstien, M.C. and Catheart, R.: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damage to DNA. Academ ic Press Inc, New York, USA, p. 339 (1982)
  2. Rojo, J.A. and Perkins, EG.: Cyclic fatty acid monomerformation in frying fats. Determination and structural study. J. Am. Oil Chem. Soc., 64, 414-421 (1987) https://doi.org/10.1007/BF02549306
  3. Carlson, B.L. and Tabacchi, M.H.: Frying oil deterioration and vitam in loss during foodservice operation. J. Food Sci., 51, 218-223 (1986)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6.tb10874.x
  4. Shamberger, R.J., Shamberger, B.A. and Wills CE.: Malonaldehyde content of food. J. Nutrition., 107, 1404-1407 (1977) https://doi.org/10.1093/jn/107.8.1404
  5. Chu, Y.H. and Luo, S.: Effect of sugar, salt and water on soybean oil during deep-frying. J. Am. Oil Chem. Soc., 71, 897-900 (1994) https://doi.org/10.1007/BF02540470
  6. Kitagawa, K., Ohta, S. and Okuda, H.: Influences of heating methods of fryer on the deterioration of frying oil. J. Jap. Oil Chem. Soc., 41, 1071-1076 (1992) https://doi.org/10.5650/jos1956.41.1071
  7. Scott, G.: Enzym atic oxygen rem oval from packaged foods. Food Technol., 12, 7-10 (1958)
  8. 이영수, 김동훈: 착색투명셀로팬 및 피리딘, 벤조페논, 파라아미노벤졸산 등으로 처리된 무색투명셀로팬으로 덮은 식용대두유의 직사광선에 의한 산패에 대하여, 한국식품과학회지, 4, 239-244 (1972)
  9. Hedrick, T.I. and Glass, L.: Chemical change in m ilk during exposure to fluorescent ight. J. Milk Food Technol., 38, 129-133 (1975) https://doi.org/10.4315/0022-2747-38.3.129
  10. Sherwin, E.R.: Antioxidants for vegetable oils. J. Am. Oil Chem. Soc., 53, 430-438 (1976) https://doi.org/10.1007/BF02605739
  11. 손종연, 임재호, 손홍수: 참치유의 산화 안전성에 미치는 일 부 합성 및 천연 항산화제의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8, 88-92 (1995)
  12. 최진호, 임채영, 배태진, 변대석, 윤태헌: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 성분 비교, 한국수산학회지, 18, 439-446 (1985)
  13. Newton, I. and Snyder, D.: Nutritional aspects of longchain om ega-3 fatty acid and their use in bread enrichment. Cereal Food World., 42, 126-131
  14. 조희숙, 박복희: 양파즙과 마늘즙이 붕장어의 저장 과정 중지방산화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16, 135-142 (2000)
  15. 이강호, 조호성, 이종호, 심기환, 하영래: 어육의 배소에 의한 지질산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30, 708-713 (1997)
  16. 김경희, 김기숙: 꽁치 저장 시 마늘즙과 레몬즙 처리가 어육의 지질산패 및 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9, 94-98 (1993)
  17. 김혜영, 임양이: 인삼과 송이를 첨가한 조리장어제품의 저장 및 살균방법에 따른 품질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9, 396-402 (2003)
  18. 김진수, 최종덕, 구재근: 식품소재로서 어류뼈의 성분 특성, 한국농화학회지, 41, 67-72 (1998)
  19. Folch, J., Lees, M. and Sloane,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957)
  20.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pp. 22-25 (2004)
  21. Metcalfe, L.D., Schmitz, A.A. and Pelka, J.R.: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 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 514-515 (1966) https://doi.org/10.1021/ac60235a044
  2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pp. 22-25 (2004)
  23. 조영제, 김태진, 심길보, 최영준: 소건 대멸치 지질의 산화억제에 미치는 항산화 제와 포장의 병행효과, 한국수산학회지,33, 238-242 (2000)
  24. 이주원, 신효선: 녹차 물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5, 759-763 (1993)
  25. 이응호, 정숙현, 조인영, 차용준, 김세권: 고등어튀김 중간수분식품의 저장안정성, 한국식품과학회지, 15, 353-358 (1983)
  26. 임치원, 김진수, 주동식, 이응호: 정어리버어거의 동결저장 안정성, 한국농화학회지, 35, 260-264 (1992)
  27. White, P.J.: M ethods for measuring changes in deepfat frying oil. Food Technol., 45, 75-80 (1991)
  28. 이진영, 안명수: 가열산화 대두유의 돌연변이원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2, 1213-1220 (2000)
  29. 박건영, 정보경, 김애경, 박경애, 조성자, 곽재은, 장민수, 배청호, 조남준: 패스트 푸드점 튀김식품의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9, 55-59 (2004)
  30. Warner, K. and Mount, T.L.: Frying stability of soybean and canola oil with modified fatty acid com position. J. Am. Oil Chem. Soc., 70, 983-988 (1993) https://doi.org/10.1007/BF02543024
  31. 이응호, 김진수, 안창범, 주동식, 이정석, 손광태: 고등어버어거의 동결저장 안정성, 한국농화학회지, 36, 58-63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