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Non-intellective Factors and Process variables of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중학생 영재의 비지적특성과 가정의 과정변인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 variables, personality trait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how much these factors affect this creativity. These results show the major factor in mathematical creativity as being the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also suggests that the education and living guidance of both gifted male and female students should take a different direction in relation to their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schools. In conclusion, all of the normal intellective and non-intellective factors, as well as home process variables, are the basic major data concerned with the effects of mathematical creativity. So, it is with all of this research that the proof for researching synthetically via a new creative research model can be offered.

본 연구는 중학생 영재들의 성격특성, 동기, 가정의 과정변인이 수학적 창의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교 및 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는 중학생 영재 317명을 대상으로 '성격 특성검사(임현수, 1998)', '동기화양식검사(Amabile, 1989)', '자녀교육관련 과정 변인검사(조석희 외, 2003, 재인용)', '수학적 창의성 검사(김홍원 외, 1998)'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녀교육관련 과정변인 중 스트레스는 남.여 모든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부적으로, 지지하기는 정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남자 영재학생들에게 지적자극은 수학적 창의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훈육, 성격특성 중 모험심, 내.외적 동기는 수학적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여자 영재학생들에게는 스트레스, 훈육, 외적동기는 부적으로 작용하였나 지지하기와 조력하기는 여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여 간의 성차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학생 남자 영재와 여자 영재의 교육과 생활지도에 있어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지도방법을 모색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아(2004).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교수 방안-창의적 문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1997).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3. 김충기(1998). 교육심리학. 서울: 동문사
  4. 김혜숙(1999). 다원적 접근에 기초한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홍원, 김명숙, 송상헌(1998). 수학영재판별도구 개발연구(I). 서울: 한 국교육개발원
  6. 성진숙(2001).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 분석.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송상헌(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신현용, 한인기(1999).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방향 모색. 청람 수학교육, 8 15-44
  9. 심우엽(2001). 연령에 따른 학습동기의 변화. 초등교육연구, 14(3), 19-44
  10. 오숙경(2001).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심리적 과정환경과 창의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미선(2003).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윤여홍(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1),79-101
  13. 임현수(1998). 창의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14.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2003). 영재성 발굴 및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최인수(1998).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창의성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Systems Model)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2). 133-166
  16. 한기순, 배미란(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비교. 교육심리연구18(2), 49-68
  17.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200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의적인 가? -영재들의 과학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3(4), 324-333
  18. Amabile, T. M.(2001). Beyond talent: John Irving and the passionate craft of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6. 333-336 https://doi.org/10.1037/0003-066X.56.4.333
  19. Amabile, T. M. & Gitomer, J. (1984). Children's artistic creativity: Effects of choice in task materi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0, 209-215 https://doi.org/10.1177/0146167284102006
  20. Balka, D. S.(197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21. Bloom, B. S.(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22. Chan, D.(2001). Learning styles of gifted and non-gifted secondary students in Hong Kong. Gifted Child Quarterly, 45(1), 35-44 https://doi.org/10.1177/001698620104500106
  23. Clark, B.(2001). Growing up gift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24. Csikszentmihalyi, M.(1989).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s.).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Heider, S.(2000). Fathering and family processes roundtable: Summary, proceedings, national center on fathers and families,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University
  26. Helson, R (1991). Personality. In M. A. Runco & S. R. Pritzker(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Vol. 2. 361-371.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7. Isaksen, S. G., & Treffinger, D, J.(1985).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asic course. Buffalo, NY: Bearly Limited
  28. Mansfield, R. S. & Busse, T. V.(1981).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and discovery: scientist and their work. Chicago: Nelson-Hall
  29. Perleth, C., & Heller, K. A.(1994). The munich longitudinal study of giftedness. In R. F.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77-114).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0. Pintrich, P. R., & Degroot, E. V.(1990).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31. Ricca, J. (1984).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8, 121-126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305
  32. Rubenson, D. L. & Runco, M. A.(1992). The psycho economic approach to creativity. New Ideas in Psychology, 10, 131-147 https://doi.org/10.1016/0732-118X(92)90021-Q
  33. Sternberg, R. J. & Lubart, T. I.(1999). The concepts of creativity: Handbook of creativity (pp. 3-15).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Torrance, E. P.(1987). Teaching for creativity. In S. G. Isaks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Beyond the basics (pp. 151-176)
  35. Verna, M. A., & Spina, M.(2002). Parental processes and self-concepts e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talian school stud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AERA. April 1-5, New Orleans, LA
  36. Woolfolk, A.(1995). Educational psychology. (6th ed.). Lond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