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lor coordination System to fashion

섬유.패션디자인을 위한 컬러코디네이션 지원모델 개발

  • 정재우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의상디자인학과) ;
  • 이재정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의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support the emotional and intuitional decision making of the designer by means of developing the supporting models and tools of color coordination. Based on the color grouping system and representative vocabularies suggested in the precedent 'Study on the Grouping System of Fabric Color,' this study suggested the manufacture of the supporting model of color coordination that could be used practically through the design of color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687 colors in total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four world famous collections, the street fashion of 2002 F/W 2003 S/S Season and the representative brands in each group for five years from 1999 to 2003 in order to single out the basic colors for the purpose of composing the color groups. Secondly, 687 collected colors have been grouped into 144 colors in total through the three-step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coloring groups. Thirdly, the final extracted colors have been divided into , , , group by the grouping system specified in the precedent study and the said four large groups have been again subdivided into 12 small groups. Fourthly, the suggested colors in each group have established a color coordination system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crossover coordination that could be matched with other groups as well as the coordination within the group. Fifthly, we have dyed 144 colors in total that have consisted of the coloring system of four representative groups (twelve subgroups) in each methodical tone as in the above in cotton yarn, one of the representative materials in fabric fashion design industry. Besides, we have specified the symbol of the Pantone Color Book and CMYK values in each color that has consisted of the system considering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as a global business and the compatibility with the related design industry. Sixthly, we have packed the completed yam made of fabrics in the designed container for the easy use of cross-coordination and have completed a color coordination system that could be easily utilized for the fashion-related working-level staffs.

본 연구는 컬러 코디네이션 지원모델과 도구를 개발하여 디자이너의 감성적 직관적 의사결정을 객관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행연구인 '섬유컬러 그루핑 체계에 관한 연구'에서 제안된 컬러 그루핑 체계와 대표 어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배색 그룹의 설계를 통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컬러 코디네이션지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컬러 그룹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컬러 도출을 위해 $1999{\sim}2003$년까지의 5년간 세계 4대 collection, 2002 F/W 2003 S/S 시즌의 Street 패션, 자 그룹별 대표 브랜드에서 총 687개의 컬러를 수집하였다. 둘째, 687개의 수집된 컬러는 비색 그룹을 위한 추출을 위해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총 144색의 컬러로 정리하였다. 셋째, 최종 추출된 컬러는 선행전구에서 제안한 그루핑 체계인 브라이트, 파스텔, 딥, 뉴트럴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4개의 대그룹은 다시 12개의 소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제시된 각 그룹 내의 색깔은 그룹 내에서의 코디네이션은 물론, 타 그룹과도 서로 대치 될 수 있는 크로스 오버코디네이션 개념을 도입하여 커러 코디네이션 체계를 구축하였다. 다섯째, 위와 같이 계통 색조별 4개의 대표 그룹(12개의 소그룹)으로 된 배색 체계를 구성하는 총 144개의 컬러를 섬유패션 디자인 산업의 대표 소재라 할 수 있는 면사에 염색하였다. 또한 글로벌 비즈니스로서의 패션 산업적 특성과 연관 디자인 산업분야와의 호환성을 고려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색상에는 팬 톤 컬러 기호와 CMYK 값을 명시했다. 여섯째, 완성된 면 소재의 얀(yarn)을 크로스 코디네이션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된 용기에 포장하여 패션 실무자들이 쉽게 활용 할 수 있는 컬러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