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주행환경 개선방안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Plan to Improve Cycling Environment

  • 발행 : 2005.12.31

초록

자동차교통에 의한 환경오염의 대책으로서 대중교통서비스의 향상과 함께 자전거이용 촉진이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교통을 대상으로 자전거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자전거 주행환경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수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자전거 주행환경 개선을 위한 개선안으로서 기존의 자동차를 중심으로 이뤄진 지구교통체계와 자전거가 중심인 네덜란드의 하우텐시를 참고로 한 2가지 개선안을 제시하고, 연구 대상지역에 각 개선안을 적용한 지구교통정비를 가정하여 개선안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현재와 두 개선안을 환경, 안전, 편리측면에서 비교평가를 수행하고, 또한 AHP수법을 이용하여 각 평가측면의 가중치를 산정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평가지표로서는 환경측면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안전측면에서 교차점에서의 교통수단 간 교착가능횟수, 편리성측면에서 누적빈도곡선을 이용한 접근성 지표이다. 분석결과, 자동차를 중시한 현재의 지구교통환경과 비교하여 도로공간의 재배분에 의한 자전거도로 설치와 자동차와 분리된 자전거 도로망을 구성한 개선안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the interest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bicycle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mode. To promote cycling, it is necessary to ensure road space that bicycle can keep running safely and smoothly.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district with rearranged road space and network, given priority to bicycle, comparing the traditional district which are given priority to car from viewpoints of environment, safety and accessibility. As evaluation indicators, the carbon dioxide emission on the environment. the number of collision between car and bicycle on safety and an accumulated frequency measure on accessibility were used. As the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bicycle road measures to create bicycle road by reallocation of road space and form bicycle exclusive network were effec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수.김수봉.박수미(1999), '자전거 전용도로의 이용환경에 대한 의식분석', 대한국토 . 도시계획확회지 34(5), pp.69-78
  2. 손영태 . 김정현 . 오영태 . 김홍상 . 박우신(2002), '자전거 교통류의 기본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지, pp.19-26
  3. 정남지(1996), '레크레이션용 자전거도로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잠실지역을 사례로-,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정웅기(2003), '대구시 자전거도로 정비 및 이용 활성화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5. 이행렬(1996), '자전거 전용도로 구축을 위한 지리정보체계모델 연구', 상병여자대학교 산업과학연구, pp.159-172
  6. 최은옥(1996), '서부산권 신개발지역의 자전거도로 도입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Nitta.Y. Hwang.J.H(2002),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bicycle and road network planning by the indexes of accessibility, safety and CO2',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City Planning 2002, Taipei, Taiwan, A4.3.1-A4.3.9
  8. 白木都市計画学会(1985), '都市計画マニュアルII-都市施設${\circled4}$道路編', pp,44-47
  9. 天野光三(1986), '計量都市計画一都市計画システムの手法と応用', pp.291-298
  10. 中村英樹.林良嗣(1998). '目標設定アプローチによる運輸起源のXCO2排出削減施策の提示', 土木計画学研究. 論文集, No.15, pp.739-745
  11. 木下栄蔵(編著)(2000), 'AHPの理論と実際', 日科技連
  12. 国士交通省(1996), '道路投資の效果分析手法の檢討'
  13. 山根j浩三(1999), '地方都市における自転車利用環境の 整備が通勤.通学交通手段に及ぽす影響', 土木計画学 研究.講演集, Vol.22(2), pp.267-270
  14. 渡?議則(2002), '百転車で通学する高校生の経路選? モデルを用いての自転車道路の整備に関する考察', 土木学 会論文集, No.695/N-54, pp.171-176
  15. 鈴木紀一(1998), '百転車走行環境に着目した금鉄草端末自転車需要予測方法の提案', 交通工学 Vol.33, No.5, pp.13-21
  16. 宮城祐貴(1999), '歩道上における自転車歩行 者交通のサービスレベルに関する硏究', 土木学会年次学術講演会講演概要集第4部, Vol. 54, pp.466-467, 山中英生(2001)
  17. 山中英生(2001), '自転車走行速度に步行者自転車混合交通の評価基準', 土木計画学硏究.論文集, Vol.18, pp.471-476,
  18. 山中英生(2001),'手用者の安全性と挙動から見た自転車歩行者導こおけるレイン表示の効果', 土木計画学硏究.講演集, Vol.24(1), pp.193-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