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ility Investigation of the Large Size Heap of Coal Associated Wastes

석탄광산에서 발생된 대규모 폐광석 더미에 대한 안정성 검토

  • Kang Gi-Chun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Ahn Nam-Kyu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
  • Oh Je-Ill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
  • Kim Tae-Hyung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강기천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안남규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오재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김태형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Stabilit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for the heap of coal associated wastes occurred from D mine located in Gang-Won Province from the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aspect, and a countermeasure was also examined to increase the stability in this area. Quality of water flowed from the heap of coal associated wastes was identified as Am. Slope stabilit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with both circular failure analyses using SLOPILE program and planar failure analyses in cases of dry, rainy, and ordinary slopes. The results of circular failur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actor of safety is 0.78 for rainy case. for planar failure analyses, the factor of safety decreases with increase the depth and reaches below 1 about 4m depth for rainy case. A retaining wall system with backfill using the recycled-concrete aggregates as a practical scheme was suggested to satisfy both demands: reducing Am generation, and enhancing slope stability in the deposits of coal associated wastes.

강원도에 위치한 D석탄광산에서 발생된 폐광석을 쌓아둔 적치장 사면의 지반공학적$\cdot$환경공학적 측면에서 안정성을 해석하고, 적합한 대 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적치장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침출수에 대한 수질검사를 통해 폐광석 적치장이 산성 광산배수(AMD)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폐광석 적치장의 사면안정 해석을 위하여 SLOPIL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기시, 평상시, 우기시 에 대하여 원호활동 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면의 규모가 대규모인 점을 고려하여 사면 선단부분을 무한사면으로 가정한 평면파괴 해석도 실시하였다 원호활동해석에서 우기시 사면의 안전율이 0.78로 사면의 선단부에서 파괴가 발생하고, 평면파괴해석의 결과 우기시 활동깊이 4m 이하부터 사면의 안전율이 1이하로 파괴의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점오염 형태의 ADM 발생 저감과 사면 안정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복합 대응이 가능한 뒷채움재로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붕괴방치벽체(옹벽) 설치가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진, 안규홍, 정예진, 2001, 폐광산 광미에서의 비소 분리 및 중금속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3권, 10호, pp. 1711-1719
  2. 김용필, 송영선, 이광열, 장용채, 정경환, 이대명, 2002, 지반공학 시험법 및 응용, 세진사, pp. 1-894
  3. 김종범, 오재일, 박찬식, 2002, 폐콘크리트 재생골재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중화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4권, 1호, pp. 21-31
  4. 구호본, 이종현, 배영식, 2000, 붕적토 사면의 안정성 해석과 보강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6권, 6호, pp. 43-50
  5. 마상준, 2003, 폐광산에 의하 지반피해와 보강대책, 토목기술기사, 대한토목학회, pp. 17-26
  6. 문한영, 유정훈, 2001, 콘크리트용 전로슬래그 굵은골 재의 품질에 대한 고찰,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 토목학회, 제21권, 5-A호, pp. 593-602
  7. 배위섭, 정영욱, 심연식, 2003, 폐탄광 자연정화시설의 효율적인 사후관리방안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제40권, 4호, pp. 284-291
  8. 송영석, 2003, 활동억지시스템으로 보강된 사면의 설 계법,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pp. 1-348
  9. 송원경, 한공창, 신중호, 1998, 광미적치장 사면의 안정 성 해석 및 대책,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4권, 3호, pp. 123-134
  10. 이진국, 이재영, 1991, 대구시 신천상류의 중금속오염 에 관한 지화학적 연구, 달성폐광산의 영향에 대하 여,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 구소, 5권, pp. 1-22
  11. 양재의, 전상호, 김휘중, 1998, 휴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중금속에 의한 하천수의 오염, 한국토양비료학회 춘 계학술발표대회 논문초록집, pp. 182
  12. 전효택, 황지호, 1998, 폐 석탄광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 의 중금속 오염 평가 : 도계탄광 부근 수계에서의 산 성광산배수의 지구화학,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제35권, 5호, pp. 491-501
  13. 최정찬, 1996, 광산 산성수 평가 및 처리기술 분석, 대 한지하수환경학회 공동학술강연회 발표 논문집, 대 한지하수환경학회, pp. 47-68
  14. 한국도로공사, 1998, 사면안정 해석기준
  15. 한국수자원공사, 2005 광산폐기물에 대한 대형삼축시험 연구보고서, pp. 10-23
  16. 홍원표, 최승호, 한중근, 황인철, 1996, 강우시 사면안 정해석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 문집, pp. 195-198
  17. Bowles, J. E., 1982,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pp. 1-763
  18. Lade, P. V., 1996, Slope Stability, Lecture note, Johns Hopkins University, pp. 1-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