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 and Its Causes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 변천 및 요인 연구

  • Kim, D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yecheon College) ;
  • Kim, Dae-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yecheon College) ;
  • Sin, Ji-Hoon (Landscape & Ecological Design Research Institute, Group HAN) ;
  • Kim, Soon-Boon (Housing Community Planning & Design Team, DAEWOO Co., LTD)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changing periods of apartment outdoor space in Korea and to clearly underst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study has been done through on-site observation of apartment complexe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housing estate planning techniques, rules and regulations affecting outdoor spaces during the rapidly developing er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ree major periods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were found, which were as follows: 1) The first well defined period spans from 1960 to 1990. In this period, apartment construction was rapid, and as a result,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s were sacrificed. As little attention was given to the landscapes in apartment complex, they were constructed very simple and identical in outdoor space of apartment complex. This period can be referred to as the 'commonly universal period in apartment outdoor space'. 2) The second period spans from 1991 to 1996, during which time a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for two million residences was completed in order to significantly stimulate the provision of houses to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regulations were relaxed causing housing environments to deteriorate. Although apartments were constructed very close together, there was some diversification and experimentation in outdoor styles. This period can be referred to as the 'congestion period of apartment outdoor space'. 3) The third period spans from 1997 to the present. During this time the number of unsold apartments has grown considerably throughout the country. Many different apartment complex marketing strategies have been employed to reduced the glut of unsold apartments. This experimental trend has continued and been well-received since the IMF period.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are the introduction of a rich natural landscape, the increase in communications among residents, the human oriented design, and the refined and elegant design for the outdoor street furnitures. As a result, this period can be named the "differentiation period of apartment outdoor space".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호(1998) 우리나라 공영 아파트 단지의 배치 기법 및 외부환경 계획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공동주택연구회(2001)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서울: 세진사
  3. 김기호(2004) 주택건설에서 도시건설로. 신 행정수도의 주거지 개발방향 토론회 pp. 16-23
  4. 김대현(1998) '90년대 아파트 옥외공간 차별화 내용 및 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3(4): 123-138
  5. 김대현(1999)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 차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대현(2004)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 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1): 263-266
  7. 김철수(1994) 단지계획. 서울: 기문당
  8. 대한주택공사(1992) 대한주택공사 30년사
  9. 대한주택공사(1997) 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설계특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0. 동아일보(1996) 아파트의 역사(9월 11일)
  11. 동아일보(2004) 주택 43%가 아파트(6월 2일)
  12. 문석. 김영하, 전태수(2001) 아파트 단지 내 녹지공간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4): 101-108
  13. 박찬석, 이재훈(2002) 필로티를 이용한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활용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219-22
  14. 서정렬(1997) 도시계획적 맥락에서 살펴본 공동주택 차별화 방안. 환경과 조경 (통권106호): 140-147
  15. 손세관. 강경호(2001) 우리나라 공영 아파트 단지의 배치 기법 및 외부환경 계획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연구(중앙대) 12(2): 9-18
  16. 송승호(2001) 공동주택의 계획유형에 따른 시대별 변천 특성 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안건용. 조정송, 임승빈, 김귀곤(1980) 우리나라 아파트 단지의 문제점 분석 및 조경설계기준 에 관한 연구. 서울대 농학연구5(2): 253-273
  18. 안상욱(2000)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요소기술의 발전방향. 주택(12월호): 1-22
  19. 원제무, 허재완, 이태일, 김행종, 박경원(1998) IMF 시대의 도시개발전략. 도시정보 통권191권: 3-5
  20. 이규목(1998) 해방 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 1-14
  21. 이재호(2001) 아파트 단지 주거동 배치형태에 다른 녹지공간의 만족도 분석.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일간스포츠(1988) 아파트 색채 패션시대(12월 5일)
  23. 조정송(2001) 도시환경조형물의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24. 조홍정(1995) 아파트 고밀화 정책이 아파트 단지의 외부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부산공업대학 논문집 제36집:270-280
  25. Marcus, C., and L. Hogue(1977) Human Response to Tall Buildings. In Donald J. Conway, eds.. Design Guidelines for High-Rise Family Housing. Pennsylvania: Dowden, Hutchi-nson & Ross, Inc., pp.240-277
  26. http://www.nso.go.kr/index.html(통계청)
  27. http://huh.iugong.co.kr/magazine/handbook.asp(대한주택공사,주택도시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