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nge of Color Preference of Young Women's Wear - Comparison between 1998 and 2004-

20대 여성 상의의 착용 색채 변화에 대한 비교 분석 -1998년과 2004년을 대상으로-

  • Cho Jung-Mee (Clothing & Textiles Major, School of Human Ecology,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조정미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의류학전공)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olor preference of young women living in Seoul, to provide materials which is useful for setting up the color plan for a better costume, and to suggest new information in the apparel study. This study was done on the basis of color preference only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ange of this study restricted on young women' clothes. The subjects were 1,100 in 1998, 1,393 young women in 2004. They were photographed in the street.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chi^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preference of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hue and tone, pattern of textiles are different mainly by regional characteristics. 1) In 1998, young women prefered achromatic colors to chromatic colors. and the most preferred achromatic color was black, especially women of YOUNGDUOPO area prefer black. But, in 2004, young women preferred chromatic colors to achromatic colors and the most preferred achromatic color was white in the all areas. 2) Analysis of hue shows that in 1998, blue is most preferred color in the all areas by young women. But, in 2004,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s 3) Analysis of tone shows that in 1998, vivid, pale, dark tones are commonly preferred by young women. However, APGUJUNG area have specially inclination, they prefer vivid, pale and light tone. In 2004 year, pale, vivid and bright tones are most preferred tones in the all areas. 4) Analysis of pattern of textiles shows that, pattern textiles were preferred by young women of APGUJUNGDONG area in 1998 and YOUNGDUOPO area in 2004. The most preferred. pattern for young women in all area was a stripe pattern.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1990). Suit의 색과 신체노출이 정숙성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공업진흥청, 한국방송공사. (1990). 한국표준색표집
  3. 강순희, 박준경 (1987). 우리나라노년층의 복색 기호조사. 주간섬유, 6월
  4. 강혜원. (1995). 의상 사회심리학(2판). 서울: 교문사
  5. 김순애. (1987). 아동복의 색채와 기호색에 대한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영인, 추선형, 조민정. (1999). 아동복색채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 42, 59-68
  7. 김영인, 고애란, 홍희숙. (2000), 의복 이미지 선호에 다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4(1),3-14
  8. 김영자. (1989). 한국 복식미의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김인수. (1985). 색채가 의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용훈 편저. (1987). MERCHANDISING 을 위한 색채상품 개발론 서울 청우, 17
  11. 김은애, 이병희. (1992). 가치관과 의복의 이미지 및 의복디 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 18, 269-281
  12. 박영순, 이현주. (1998). 색채와 디자인. 서울; 교문사, 9
  13. 박은주. (1998). 색채조형의 기초. 서울, 미진사, 284
  14. 백선원. (1989). 여성의류의 색채선호동에 관한 연구. 숙명 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석재은. (1993) 성인여성의 자아개념과 의복 색채 선호도와 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성희진. (1994). 현대 한국 여성에 나타난 색채와 문양의 기호도에 관한 연구-1 961 - 1990-년간의 잡지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아른하임. R. 김춘일 역 . (1981). 미술과 시지각. 서울. 홍성사, 448 -449
  18. 은영자, 박소희. (1996). 20대 남녀의 의복 색상 선호에 관한 연구-대구 시내를 중심으로-. 복식 문화연구, 4(3), 305-323
  19. 이경손, 김희섭. (1998). 의생활과 패션코디네이션. 서울: 교문사, 117
  20. 이경희. (2004). 패션산업의 색채관리를 위한 조사용 컬러코 드의 설계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285-296
  21. 이경희 (2003) 대구 . 경북지역 폴리에스테를 직물의 표준 색표집 설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3), 39-52
  22. 이주현. (1990). 의복단서가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이정희. (1989). 한국인과 미국인 여대생의 의복색상 선호도 비교 연구. 誠心外專論文集, 8, 593-625
  24. 이호정. (1995) 복식디자인. 서울: 교학연구사, 190-193
  25. 이혜숙, 김재숙. (1998).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제 1보) . 한국의류학회지, 22(5), 597-606
  26. 조민정, 김영인. (1998). 국내 섬유 패션업계의 색채사용 체 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5), 606-616
  27. 조정미. (1999). 성인여성 의 연령에 따른복식 색채 선로에 대한 연구 Street Color Research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37(1), I-I I
  28. 조정미. (1999). 지역특성에 따른 성인여성의 복식색채 선로에 대한연구. 생활과학연구소논집. 19, 129-144
  29. 조희련. (1993) 색채 기호도와 이미지에 관한조사. 효성여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30. 정은진. (1996). 서울시 백화점의 지역별 특성과 소비자 구매형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정삼호. (1987). 성인여성의 의복에 대한 색채 및 배색 선호 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가정문화논총, 1
  32. 정삼호. (1990). 성인여성의 직물표본에 의한 색채선호와 의 복스타일에 따른 색채 및 배색 선호 간의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가정문화 논총, 4, 55-74
  33. 정지현. (1983). 색채기호와 색연상에 관한 조사연구. 성균 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34. 小林重順. (1965). チサ仁のための色彩心理. 東京:誠信書房, 92- 95
  35. 野村順一. (1979). 商品色彩論. 東京. 千倉書房
  36. 織柔工業構造改善事業協會篇. (1989) 色彩資料總據.鐵維 工業構造改善協會, 東京, 8-9
  37. Birren, F. 색채심리. 김화중 역. (1989). 서울: 동국출판사
  38. Chamber, B.G (1951), Color and design, NY: Prentic Hall, 109
  39.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 -store purchase decision pro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on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40. Guilford, J. P. (1934). The effective value of color as a function of hue, tint and chroma.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7, 342-370 https://doi.org/10.1037/h0071517
  41. Lind, C. (1993). Psychology of color: Similarities between adstract and clothing color preferenc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1), 57-64 https://doi.org/10.1177/0887302X9301200108
  42. KBS한국색채연구소. (1994). 색채 I, II
  43. Radeloff, D. J. (1991). Psychological types, color attridutes, ad color preferences of clothing, textiles, and design studen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59-67 https://doi.org/10.1177/0887302X9100900309
  44. Susan Berry, & Judy Martin. Designing with Colour. 김미자역. (1997). 서울: 예경, 8
  45. Willians J., Abaugh J. & Rucker M. (1980). Clothing color preference of adolescent female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9(1), 57-63 https://doi.org/10.1177/1077727X800090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