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ree species of Gastrostyla ciliates collect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a puddle in the valley from Korea were identified as Gastrostyla minima Hemberger, 1985, G. steinii Engelmann, 1862 and G. setifera (Engelmann, 1862). The description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living specimens, protargol impregnated specimens and biometric analysis.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among the populations of these species were investigated with morphometry. These species have not been reported in Korea and their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G. minima normally has two oval macronuclei (Ma) with one spherical micronucleus (Mi) respectively, continuous ventral cirral row (VCR) with additional one postoral ventral cirrus (poVC), five transverse cirri (TC), six dorsal kineties (DK) with broken 4th kinety, and cortical granules. G. steinii has four oval Ma with three to five Mi, discontinuous VCR with additional one poVC, four TCs, six DKs, and no cortical granules. G. setifera has two oval Ma with one spherical Mi respectively, five TCs which distinctly separate in two groups, six DKs, discontinuous VCR with additional two poVCs, and no cortical granules.
하수처리장과 계곡의 웅덩이에서 채집된 3종의 Gastrostyla 섬모충류가 Gastrostyla minima Hemberger, 1985, G. steinii Engelmann. 1862 그리고 G. setifera (Engelmann, 1862)로 동정되었다. 기재는 생체표본, protargol 염색표본 관찰과 관찰된 표본의 형태통계에 기초하여 기술하였다 이 종들의 형태적 변이는 측정된 형질의 기술통계처리로 분석되었다. 이들 3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으로 아래의 식별형질로 구분된다 G. minima는 일반적으로 2개의 대핵에 구형의 소핵이 하나씩 있고, 하나의 후방구복극모 (poVC, postoral ventral cirri)와 연속적인 복극모섬모열 (VCR, ventral cirral row), 5개의 후방극모 (TC), 6개의 등쪽섬모열에서 네 번째 섬모열은 끊어져 있고 cortical granules들을 가진다. G. steinii는 4개의 대핵과 3-5개의 소핵을 가지고, 하나의 후방구복극모(poVC)와 연속되지 않는 복극모섬모열 , 4개의 후방극모, 6개의 등쪽섬모열을 가지며 cortical granules들이 없다. G. setifera는 2개의 대핵에 구형의 소핵이 하나씩 있고, 두 그룹으로 뚜렷하게 나누어진 5개의 후방극모가 있으며, 6개의 등쪽섬모열, 두개의 후방구복극모와 연속되지 않는 복극모섬모열을 가지며 cortical granules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