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에서의 우울 및 관련증상에 관한 예비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Depressive Symptoms and Glycemic Controls in Diabetic Patients

  • 고승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내과학교실) ;
  • 정종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홍승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한진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성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안유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내과학교실) ;
  • 송기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내과학교실)
  • Ko, Seu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t. Vincent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eong, Jong-Hy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t. Vincent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ong, Seung-Chu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t. Vincent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an, Jin-He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t. Vincent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Seung-Pi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t. Vincent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Ahn, Yoo-B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t. Vincent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Ki-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t. Vincent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04.12.15

초록

목적 : 당뇨병은 인단 발생하면 질병 경과의 조절은 어느 정도 가능하나 대부분 완치가 어렵고 평생동안 치료와 자기관리론 요하는 만성질환으로, 이러한 합병증은 혈당을 가능한 정상인에 가깝도록 유지함으로서 합병증의 발생 및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당뇨병 진단이후 만성질환에 대한 합병증 발생에 따른 두려움, 혈당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생활습관의 갑작스런 개선, 당뇨병 치료를 위한 약물 복용 및 인슐린 주사,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 등은 정서적 스트레스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저자들은 자가보고식 우울증 척도를 기준으로 당뇨조절과 관련된 요인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에서 치료 중인 환자 60명을 대강으로 하였으며, 이 중 Beck의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점수를 기준으로 20점 이하인 군을 비우울군, 21점 이상인 군을 우울군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사회 인구학적인 변인, 혈액화학 검사, 단백뇨검사, 당화혈색소검사 및 Spielberger의 상태-특성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Bagby의 감정표현불능척도(Tronto Alexithymia Scale), 고경봉의 스트레스반응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를 사용하여, 우울군과 비우울군 간의 차이론 비교하였다. 결과: 1) 대상군 60명의 평균나이는 $50.3{\pm}9.7$세(연령분포 : $24{\sim}67$세)였으며, 이중 남자가 51.7%(31명), 여자가 48.3%(29명)이었고, 평균 유병기간은 $47.1{\pm}61.5$개월, 평균 신체질량지수는 $25.2{\pm}4.3$으로 측정되었다. 총 60명중에서 비우울군은 47명(평균나이 $48.9{\pm}9.8$세, 남자 51.1%(24명), 여자 48.9%(23명))이었고, 우울군은 13명(평균나이 $55.4{\pm}7.2$세, 남자 53.8%(7명), 여자 46.2%(6명))이었다. 2) 두군 간에서 평균연령이 우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55.4{\pm}7.2$세 vs. $48.9{\pm}9.8$세)(p=0.031), 성별, 신체질량지수, 당뇨병 유병기간, 교육정도, 직업 등의 인구학적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혈중 크레아틴 농도가 우울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으나$(0.91{\pm}0.14\;vs.\;0.8{\pm}0.14)(p=0.26)$, 공복 시 혈당, 식후 혈당, 당화혈색소 및 단백뇨검사 등의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우울군과 비우울군의 스트레스 반응척도의 평균점수는 각각 $59.7{\pm}24.9,\;31.5{\pm}22.0$으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p=0.000). 4) 상태불안 및 특성불안, 감정표현불능척도에서는 우울군과 비우울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우울증상이 있는 당뇨환자에 있어서 당조절의 지표라고 여겨지는 혈당 및 당화혈색소 등은 악화되어있지 않았으나, 당뇨병의 장기적인 합병증과 관련되어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혈중 크레아틴의 농도가 증가되어있고,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한 상태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우울증이 있는 당뇨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이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Diabetes mellitus is a heterogeneous, chronic, progressive disease characterized by hyperglycemia and abnormality in protein, carbohydrate, fat metabolism. Recent studies have reorted two times prevalence of depression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compared to individuals without diabetic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glycemic controls, anxiety, alexithymia, stress responses between depressed diabetic patients and non-depressed diabetic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60 diabetic patients(mean age : $50.3{\pm}9.7$ years, 31 men and 29 women) who were confirmed to have diabetes depending on the laboratory findings as welt as clinical symptoms at the St. Vincent Hospital Diabetes Clinic, from Mar. 2004 to Sep. 2004. Laboratory test including, blood chemistry. glycated hemoglobin, urinalysis for proteinuria and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Toronto Alexithymia Scale(TAS)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were used for assessment. Based on BDI scores, all diabetics were divided into 13 depressed-diabetics group(above 20 point) and 47 non-depressed group(below 20 point). We compared demographic data. glycemic controls, STAI, TAS and SRI scores between two groups by independent t-test. Results : 1) Depressed diabetic groups were 13(mean age : $55.4{\pm}7.2$ years, 7 men and 6 women) and non depressed groups were 47(mean age $48.9{\pm}9.8$ years, 24 men and 23 women). In depressed diabetics, compared with non-depressed group, manifested aged(p=0.031), but other demographic data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FBS, PP2h, Hb A1C,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SGOT/SGPT, BUN levels between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But, blood creatine levels of depresse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non-depressed group(p=0.026).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core of STAI, STAI-S, STAI-T, TAS between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4) The SRI scores of depress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depressed groups$(59.7{\pm}24.9\;vs.\;31.5{\pm}22.0)(p=0.000)$.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ed diabetic patients are have more stress responses and higher blood creatine level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aboratory data related to glycemic controls, and anxiety. alexithymia levels between two groups. We suggest that physicians should consider integrated approaches for psychiatric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