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y and Occurrence of Black Sandstone and Black Shale Dimension Stones, Korea

흑색사암(오석)과 흑색셰일(청석) 석재자원의 지질과 산출유형

  • Park Deok Won (Groundwater &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Hong Sei Su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Chul Joo (Minerals and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Choon Oh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Byeong Tae (Groundwater &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Yun Hyun Soo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박덕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김철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 이춘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이병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A general study of domestic black sandstone and black shale quarries has not been mad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he matter really stan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chieve systematical and scientific study of the distribution, occurrences and rock quality of black sandstone and black shale resources exploited in existing quarries in the Boryeong area. The black sandstone bed survey was made from 54 mine claims on 4 sheets. In the area, 140 black sandstone and 22 black shale quarries were ascertained in 37 mine claims. The general development information data from that existing quarries were collected and synthesized. Among these black sandstone quarries for gravestones, monuments and black shale quarries for inkstone are in operation. Most of the black sandstone quarries were closed throughout the Gaewhari, Suburi, Seongjuri district in the investigated area even though these quarries had played a prominent part in the production of black sandstone. In view of commercial dimension stones, raw materials from black sandstone are classified as corestone and fresh rock bod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ccurrences and shape. Black sandstone beds are characteristically well-jointed and are particularly subdivided into cubic or quadrangular blocks in 3 joint sets. The colors of these black sandstones show medium dark $gray\~grayish$ black judging from the Rock Color Chart. The black sandstone beds which are intercalated in the Amisan, Jogeri, Baegunsa, Seongjuri Formations of the Daedong Supergroup are about $1\~10\;m$ in thickness.

국내의 흑색사암 및 흑색셰일 석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보령지역의 기존 석산에서 채석되는 흑색사암 및 흑색셰일의 분포, 산출상태 및 암질에 대하여 조직적, 과학적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흑색사암 층의 조사는 4개 도폭의 54개 광구에서 실시되었다. 연구 지역에서 37개 광구내에서 140 개소의 흑색사암 석산, 22 개소의 흑색셰일 석산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존 석산에 대한 전반적인 개발정보 자료가 수집 및 종합되었다. 이들 중에서 묘비석 및 기념비용의 흑색사암 석산, 벼루용 흑색셰일 석산에서 채석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대부분의 흑색사암 석산은 개화리, 수부리, 성주리 지역에 밀집하며 이들 석산은 흑색사암의 생산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상업적인 석재의 관점에서 볼 때, 흑색사암 원석은 산출상태 및 형태의 특성에 따라서 핵석과 신선한 암체로 구분된다. 흑색사암층은 독특하게 절리가 잘 발달하며, 특히 3 절리조 내에서 입방체 또는 사각형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흑색사암류는 암회색내지 회흑색으로 나타난다. 흑색사암층은 대동누층군의 아미산층, 조계리층, 백운사층 및 성주리층 내에 협재하며, 층후는 약 $1\~10m$ 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억, 윤현수, 김유동, 박용순, 이춘오, 이병대, 김영범, 이병태, 김경수 (1986) 화강석류 석재자원조사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KR-86-2-16, p. 7-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