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야응회암의 지화학적 풍화 열화 특성과 변질작용

Chemical Weathering Deterioration of Oya Tuff and Its Alteration to Zeolitic Materials

  • 추창오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오대열 (대구공업대학 토목건설과) ;
  • 김종태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Choo Chang Oh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Gyo-Cheol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Oh Dae Yul (Dept. of Civil Engineering, Daegu Technical College) ;
  • Kim Jong-Tae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Seiki T. (Dept. of Civil Engineering Utsunomiya University)
  • 발행 : 2004.12.01

초록

일본 오야응회암의 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화학적 풍화 열화 및 변질작용을 고찰하였다. XRD회절분석과 전자현미경분석 결과, 오야응회암은 제올라이트 광물인 클리높틸로라이트를 상당량 포함하고 있으며, 석영, 사장석, 정장석, 모오데나이트, 오팔C-T, 스멕타이트를 수반한다. 풍화된 응회암에서 석영의 함량감소 정도는 비교적 적으나, 장석의 함량감소가 뚜렷하므로 화산유리질과 장석으로부터 실리카, 알루미늄 및 알칼리원소가 공급되어 추가적 인 제올라이트가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선한 오야응회암의 경우, 이미 형성과정동안 상당한 양$(30\~50\%)$이 제올라이트화한 것으로 볼 때, 물이나 습기에 이 암석이 노출된다면 쉽게 풍화, 변질되어 이 암석의 강도는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화산성 기질과 반정간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의 차이로 인하여 동일한 시료내에서도 풍화, 변질되는 양상은 서로 상이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late the weathering properties of Oyaish tuff from Japan to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s in terms of mineralogical alteration and chemistry. The tuff is composed of clinoptilolite, quartz, feldspars, mordenite, opal C-T, and smectite. Since fresh tuff contains approximately $30\~50\%$ zeolite, it is expected that the rock is subjected to weathering process ascribed to water contents on earth surface, significantly reducing mechanical strength of tuff. It is also anticipated that weathering process and properties may be different even in the same rock mass, due to the differences in local mineralogy, chemistry and microtextures in tuff.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해경, 고영구, 오강호, 2004,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응외암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지질공학회지, 14, 273-285
  2. 노친환, 고상모, 2004, 열일지역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의 광물특성 및 생성관경, 한국광물학회지, 17, 135-145
  3. 이정인, 이희근, 유창하, 양형식, 1982,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암석류의 역학적 특성연구-주요 탄전지역 및 지하발전소 건설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암의 역학적 성질, 대 한광산학회지, 19, 260-267
  4. 정형식, 유병옥, 1997, 암석의 풍화에 따른 강도변화 특성 및 강도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지, 13, 71-93
  5. Hess, P., 1966, Phase equilibria of some minerals in the $K_2O-H_2O-Al_2O_3-SiO_2-H_2O$ system at $25^{\circ}C$ and 1 atmosphere. Am. Jour. Sci., 264, 289-309
  6. Graham, I.T., Pogson, R.E. and Baines, A., 1999, Zeolite crystal habits, New Zealand, Mineralogical Magazine, 67(4), 625-637
  7. Noh, J.H. and Boles, J.R., 1989, Diagenetic alteration of perlite in the Guryongpo area, Republic of Korea, Clays and Clay Minerals, 37, 47-58
  8. Pe-Piper, G, 2000, Mode of occurrence, chemical variation and genesis of mordenite and associated zeolites from the Morden area, Nova, Canada, The Canadian Mineralogist, 38, 1215-1232
  9. Velde, B. 1985, Clay Minerals: A physico-chemical explanation of their occurrence. Elsevier. p427
  10. Walker, T.R., Waugh, B. and Grone, A. L 1978, Diagenesis in first-cycle desert alluvion of Cenozoic age, South Western United States and Northwestern Mexico, Bull. G.S.A., 89,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