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resh Water Algae Euglena on the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of Broiler Chickens

육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흉근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 Choi S. W.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Chung-Ang University) ;
  • Park I. K.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Chung-Ang University) ;
  • Park B. S.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uman Ecology, Chung-Ang University)
  • 최선우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 백인기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 박봉선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Euglena strains grown under different media.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uglena on the performance, nutrient avail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studied. In experiment I, two hundred ten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seven dietary treatments for 5 week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3 replications with 10 birds each.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have $22\%$ CP and 3,150 kcal ME/kg for starter diet, $19\%$ CP and 3,200 kcal ME/kg for finisher diet. Euglena gracilis Z. (EG) was added to control diet at the plevel of 0.25, 0.5, $1.0\%$ and 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EGBD; a strain mutated by streptomycin an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at the level of 0.5, 1.0, $2.0\%$ in the diet. In experiment 2, two hundred fifty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T2; T1 + 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 (EG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0.5\%$, T3; T1 + EGD $1.0\%$, T4; T1 + EGBD $0.5\%$, T5; T1 + EGBD $1.0\%$. The weight gain and feed consumption were measured weekly.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determined. In experiments I and 2, Euglena supplement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experiment 1, EGB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concentration but decreased concentration of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in breast muscle. EGBD 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DHA concentration (14.27%) which is 3.9 times of that of the control ($3.66\%$). In experiment 2, $1.0\%$ EGBD treatment showed highest EPA, lignoceric acid and DHA level in breast muscle (P<0.05). Also, EG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and EPA concentration. It was concluded that EGBD and EGD can be supplemented to broiler diet to produce DHA enriched broiler meat.

본 연구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단세포 단백 사료 자원으로 이용하고, DHA를 강화시킨 변종을 육계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그 이용성과 도체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210수를 반복당 10수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 함량과 조단백 질함량이 전기에는 3,150 kcaHg, $22\%$, 후기에는 3,200 kcal/kg, $19\%$가 되도록 한 대조구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 구와 EGBD(Euglen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병아리(Ross) 250수를 반복당 10수씩 5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첨가한 구와 EGBD를 0.5, $1.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고 매주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사료요구율 및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사양시험종료 후 대사시험을 실시하고, 가슴살을 채취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 증체량은 시험 전 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Euglena 첨가구들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의 이용율은 EG를 첨가한 구들이 EGBD를 첨가한 구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가슴살 내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가 $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2. Dyorborg J, Bang HO 1979 Haemostatic function and platele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Eskimos. Lancet 2:432
  3. Farrell DJ 1993 UNE's designer egg. Poultry International 5: 62
  4. Fernandes G, Venkatraman JT 1993 Role of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Nutr Res 13: S19
  5. Halmagyi-Valter T, Toth M, Koczo C, Techy M, Ludas J 1986 Effect of Pruteen(single cell protein) feeding on rearing indices in hybro end-products. Seventh European Poultry Conference Paris Vol 492-496: 8 ref World Poultry Sci Association
  6. Henry DP, Thomson RH, Sizemore DJ, O'Leary JA 1976 Study of Candida ingens grown on the supernatant derived from the anaerobic fermentation of monogastric animal wastes. Appl Environ Microbiol 31:813-818
  7. James GW, Browse J 1999 The Δ8-Desaturase of Euglena gracilis: An alternate pathway for synthsis of 20-carbo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rchives of Biochem and Biophysics 365(2): 307-316
  8. Masahiro H, Yukino T, Maruyama I 2001 Uptake and accumulation of exogenous docosahexaenoic acid by Chlorella. Biosci Biotechnol Biochem 65(1): 202-204
  9. Moo-Young M, Chahal DS, Stickney B 1981 Pollution control of swine manure and straw by conversion to Chaetomium cellulolyticum SCP feed. Biotechnol Bioeng 23: 2407-2415
  10. Nigam P, Vogel M 1991 Bioconversion of sugar industry by-products- molasses and sugar beet pulp for single cell protein production by yeast. Biomass and Bioenergy 1:339-345
  11. Patricia CA, Danforth HD 1998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n-3 fatty acid ethyl esters on Coccidiosis in chickens. Poultry Sci 77: 1631-1635
  12. Shuler ML, Roberts ED. Mitchell DW, Kargi F, Austic RE, Henry A, Vashon R, Seeley HW 1979 Process for the aerobic conversion of poultry manure into high-protein feed stuffs. Biotechnol Bioeng 21: 19-38
  13. 김진형 박범영 유영모 이종문 김용곤 박구부 1998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한 오일 급여가 산란계육 및 계란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축산논문집 40(2): 130-134
  14. 김창원 오태광 홍석산 1987 돈분을 이용한 고단백사료(SCP)의 생산에 관한 연구와 혐기적 발효를 통한 휘발성 지방산의 생산. 한국영양사료학회지 11(2): 125-132
  15. 권오진 정영건 1995 섬유소를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 및 그 이용. 한국농화학회지 38(6): 496-501
  16. 장윤호 김정우 김인호 김춘수 1998 균체 단백질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5(2):7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