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경제논집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제27권2호
- /
- Pages.117-138
- /
- 2004
- /
- 1229-6651(pISSN)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모형
A Model on Enhancing Labor Market Flexibility
초록
이 글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노동시장 유연성 모형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여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 일본, 독일, 한국 노동시장 유연성을 비교하기 위해 쓴 것이다. 필자는 경제정책이론을 바탕으로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정책목표로 보고 간접적 조정, 직접적 조정, 정책적 조정으로 나누어 정책수단을 11가지, 정책방안을 40여 가지로 분류했는데 이는 노동시장 유연성 내용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이를 나타낸다. 필자는 이 모형을 바탕으로 미국, 일본, 독일, 한국 노동시장 유연성을 평가했는데 평가 결과를 노동시장 유연성이 높은 나라부터 쓰면 미국, 일본, 한국, 독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a model on enhancing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to compare labor market flexibility, considering that the model on labor market flexibility, universally acceptable, are not found. The writer classified the scope of labor market flexibility into three parts such as indirect adjustment, direct adjustment and policy adjustment. The writer further classified the contents of labor market flexibility into eleven sub-parts. This kind of classification regarding labor market flexibility is unique and comprehensiv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writer measured the degree of labor market flexibility of four countries such as USA, Japan, Germany, and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nks of labor market flexibility are USA, Japan, Korea, German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