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Weekly Working Hours and the Efficiency of Labor, 1963~2003

취업시간과 노동능률의 변화: 1963~2003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For a thorough accounting for economic growth, it is desired to include the working hours and the efficiency of labor as produc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workers and human and physical capital stocks. This paper estimates the distribution of weekly working hours of total workers as a continuous variable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estimates the efficiency of labor as a function of working hours using wage statistics, and by combining these results, estimates the labor efficiency index in Korea for the period 1963~2003.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efficiency of labor was maximized when the weekly working hours was 40 hours, and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the labor efficiency for the period 1963~2003 was 0.14 percent.

엄밀한 성장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취업자수 및 인적 물적 자본스톡 뿐 아니라 취업자의 평균 취업시간 및 취업시간 변화에 따른 노동능률의 변화를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간별로 발표되고 있는 주당 취업시간별 취업자수 통계에 최우추정법을 적용하여 총취업자의 단위 기간당 취업시간의 분포를 추정하고, 임금통계를 이용하여 단위 기간당 취업시간 변화에 따른 노동의 능률변화패턴을 추정한 후, 이를 결합하여 1963~2003년 기간중 총취업자의 주당 취업시간과 노동능률지표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주당 취업시간이 40시간일 때에 노동의 능률이 최대화되며, 1963~2003년 기간중 노동능률지표의 연평균 증가율은 0.14%로 계산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