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ive-Class Mourning Costume-System in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고려시대와 조선초기 오복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전혜숙 (동아대학교 의상섬유학부) ;
  • 권이순 (동아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Received : 2003.08.14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settlement of this etiquette book and the five-class mourning-costume system throughout two dynasties is examin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hosun dynasty's efforts to practice Chu-Ja-Ga-Rye(朱子家禮, Chu Hsi's Book of Family Rituals) through legal intensification and enlightenment policies, the book's teachings had a general effect on society at large. As a result, the family system and funeral rites turned Confucian from a Shaman-Buddhist mixture. As the Confucian order was strengthened to highlight the authority of the male family head, the funeral rituals were based on Chu Hsi's Book of Family Rituals. So, the 100-day funeral of Koryo turned into the 3-year funeral in the Chosun dynasty. Also, the main and father's lines were valued, while the mother's and wife's lines were neglected. Even though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of status or pla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Koryo dynasty, the settlement of Chu-Ja-Ga-Rye brought about the drop of women's status as they gradually began to be dependent on men.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자(1981) 상례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혜영. 조우현(1994) 불교 상복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논문집, 1, pp. 104-120
  3. 문철영(1982) '고려 신흥사대부의 신유학수용과 그 특질'. 서울대, 서울, pp. 116-117
  4. 변태섭(1999) '한국사통론'. 삼영사, 서울, p.50, 163
  5. 오미숙(1990) 상복비고 한구과 중국의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성애(1998) 의례예기상례여한국상례지비교. 국립대만대학 중국문학연구소 박사학위논문
  7. 이순구(1994) 조선초기 종법의 수용과 여성지위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필상(1974) 고려시대 복제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현재(1993) '유교젹 전통사회의 구조와 특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p.6
  10. 정긍식(1988) 조선초기 주자가례의 수용에 관한 고찰, 상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종수(1994) 조선초기 상장의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
  12. 조우현(1989)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8
  13. 최재석(1986) '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서울, p.209, pp.222-235, pp.261-262
  14. 최해율(1997) 조선시대 상장례·상례행렬복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經國大典
  16. 高麗史志 18禮 6國恤, 后妃
  17. 論語 爲政
  18. 唐開元禮 . 凶禮
  19. 釋名
  20. 讀禮通考 卷三十七
  21. 禮記 喪服小記 大傳 閒傳
  22. 儀禮 喪服
  23. 儀禮注疏 卷30 喪服
  24. 禮疑類輯 卷六
  25. 朱子家禮
  26. 朝鮮王朝實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太祖 元年 7月 (丁未), p.100, 太宗 8年 5月 19日 (丁卯), p.247, 太宗 3年 6月 9日(乙卯), p.337, 世宗 8年 正月 (壬戊), p.147, 太宗 10年 正月 28日(乙未), p.123, 太宗 3年 4月 4日(庚戌), p.306, 世宗 4年 2月 28日 (乙卯), p.28, 世宗 13年 10月 13日(甲辰), p.254, 世宗 14年 9月 13日 (戊辰), pp.71-74, 世宗 14年 11月 28日 (癸未), p.126, 定宗 元年 1月 9日(庚辰), p.17, 太宗 3年 4月 4日 (庚戌), pp.306-309, 世宗 2年 10月16日(辛亥), pp.196-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