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in Korean Verse Education

시조교육의 현황과 학습자 활동 중심의 교수$\cdot$학습 모형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작품 <시조>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Even though only 3 sijo are in high school textbook. through these 3 sijo each type can be understood in that each represents pyung sijo, sasul sijo, and present sijo. To learn with learner-centered activities, which aim for full knowledge acquisition regarding literary works, as the preparing stage, students can learn what theyll learn by teachers. Sijo are, so to speak, formed with three chapters, and stand for the world that is colorless, scentless, and flavorless. So, the theme can be found with ease. Compared with other genres, sijo can be formed creating background with ease. Moreover, sijo are not too long, so learners can paraphrase it. Sijo that express private experiences with the everyday language can be related to other genres or everyday language. So, sijo are last to present. In the teaching phase, on the gradation of concretion and gradation, writing or presentation activities are presented. After classroom, learners keep a reaction journal. In the phase of concretion and gradation, learners can apprehend that typical differences of the emotions of poetic speakers is from typical differences, even though emotions of poetic speakers of (1)$\cdot$(2)$\cdot$(3) that is each stand for pyung sijo, sasul sijo, and present sijo are roughly summarized loneliness, desolateness, and gloominess. Moreover, these typical differences are from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settings, namely, the differences of contexts. In this teaching model. learners should prepare for content regarding context and text before the class. Teachers should act as an assistant to help learners pre-understand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and imaginations.

시조는 우리의 시가사에 있어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시장르이다. 비록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는 단지 3편이었지만, 각각 평시조$\cdot$사설시조 현대시조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세 작품을 통한 각각의 유형적인 이해를 할 수 있다. 효율적인 학습자 활동 중심의 학습을 위해서는 작품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선험적으로 체득될 수 있도록 수업전 단계로서 준비학습, 학습할 정보나 원리를 교사의 도움으로 익히도록 한다. 이를테면, 시조는 3장 구조의 정형으로 되어 있고 무색. 무취, 무미한 세계를 표방하고 있느니 만큼 비교적 주제를 밝히기가 수월하다는 점, 시조는 다른 장르에 비해 창작 배경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해 낼 수 있다는 점, 시조는 작품의 길이가 길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의 고쳐쓰기 활동에 적합하다는 점, 시조는 대부분 사적 체험을 평범한 언어를 사용하여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기에 다른 장르나 일상적인 언어 형상과 연관짓기가 쉽다는 점에서 현대까지 이어지며 지속된다는 것 등이다 수업 단계에서는 이를 구체화$\cdot$단계화하는 과정을 거쳐서 쓰기 및 발표, 그리고 평가 및 정리를 거친 후, 수업 후 단계로는 반응일지 쓰기까지의 순차적인 단계를 제시하도록 한다. 구체화$\cdot$단계화하는 과정에서는, 평시조$\cdot$사설시조$\cdot$현대시조로 대표되는 (1)$\cdot$(2)$\cdot$(3)에서의 시적 화자의 감정은 대략 외롭고 쓸쓸하고 막막하고 답답하고 애틋함이라는 단어로 수렴되었지만 이렇듯이 비슷한 감정을 토로하거나 암시하는 작품들은 그러나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는 서로 상당히 변별되는데, 이러한 차이는 유형의 구별에서 온다는 것, 유형적 변별성은 또한 사회 정치 문화적인 배경, 즉 컨텍스트적인 변별성에서 기인한다는 것도 파악하도록 한다. 이러한 수업 모형에서는 반드시 학습자는 컨텍스트$\cdot$텍스트에 관해 학습 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하는데, 이 때 교사는 어디까지나 학습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상상력을 위한 선이해 정도의 조력자의 역할만을 함으로써 상호 교류적인 의사 소통 구조를 형성하는데 밑받침이 되도록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