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the State of Sea Surface with Low Atmospheric Pressure and Typhoon Conditions over the fellow Sea

저기압 및 태풍 통과시 서해상의 해상상태 사례 분석

  • Pang, Ig-Ch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Lee, Ho-Man (Marine Meteorology and Earthquake Research Labor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 Kim, Tae-Hee (Marine Meteorology and Earthquake Research Labor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방익찬 (제주대학교 해양학과) ;
  • 이호만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 김태희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In this study, state of sea surface were analyzed comparatively for cases of low atmospheric pressure, which occurred in the middle area of China and moved eastward to the Korean Peninsula across the Yellow sea during April 9-12, 1999, and typhoons 'NEIL' May 1999 and 'OLGA' July 1999, which moved northward along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cases of low pressure, wind speeds and phases were respectively stronger and faster in the center area than in the surrounding areas. The wave heights seem to a somewhat differing tendency from that of the wind speeds due to the influences of geometry. On the other hand, wave heights were lower under typhoon weather than under low pressures, except the instance of wave height over 5 m on Chilbal when typhoon Olga pass northward from the southern area. Storm surges also showed larger amplitudes under low pressures than under typhoons. The results suggest that wave sand storm surges may be larger for a slow passing synoptic low pressures than for a fast passing local typhoon.

서해 상에서 저기압과 태풍 통과 시 해상상태를 비교 분석을 하였다. 1999년 4월 9일${\sim}$12일에 강한 저기압이 화중지방에서 발생하여 서해를 지나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경우의 9905호 태풍 NEIL과 9907호 태풍 OLGA가 서해를 통과하면서 서해 연안에 영향을 미친 사례이다. 봄철 이동성 저기압 발생 시 에는 저기압 중심부의 풍속이 주변 지역에 비해 위상이 빠르고 강하게 나타나며, 이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파고는 주변의 지형적 영향으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비해 두 태풍에 의해 발생한 파고는 태풍 Olga가 서해 남부해역에서 북상할 시기에 칠발도 근해상에서 5m이상의 높은 유의파고를 발생한 것 이외에는 저기압 통과 시보다 파고가 낮다. 해일도 태풍보다 저기압 통과 시에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결과는 강하지만 국지적이고 빠르게 이동하는 태풍보다 종관적이고 느리게 이동하는 기압장에 의해 발생한 파도와 해일이 더 클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일, 1988, 남해안 근처를 통과하는 태풍에 의해 발생되는 해면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p
  2. 김태희, 이기선, 이현정, 홍 윤, 신윤희, 1999, 남서해안 이상해면 상승시 기압계 특성 연구. 한국기상학회 1999년 춘계학술발표회, 252-254
  3. 김태희, 이현정, 이기선, 홍 윤, 김우규,1998, 기상과 바람에 따른 해수면 변동성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95
  4. 서병덕, 허 룡, 임관창, 1999, 백중사리 시기의 조석예보 및 실측자료 분석. 1998년 수로기술연보, 17-22
  5. 소선섭, 이천우, 1996, 기상관측법. 교문사, 서울, 377 p
  6. 오임상, 김성일, 봉종헌, 1988, 한국 남해를 통과하는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 (3), 72-84
  7. 오임상, 문일주, 박명숙, 이동은, 1997, 1997년 여름철 '백중사리' 재구성. 한국해양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31
  8. 윤용훈, 오임상, 김충기, 홍 윤, 1998, '97 백중사리 기간중의 이상 해면에 대하여. 기상연구논문집, 15 (1), 16-25
  9. 이석우, 1997, 1997년 백중사리시 서해안의 고극조위. 항만, 21 (2), 16-37
  10. 최병호, 1985, 동지나해의 1978년 하계 폭풍해일의 산정. 한국해양학회지. 20 (1), 1-11
  11. 황진풍, 1971, 한국연안에 있어서 기상교란에 의한 해면변화: I 태풍빌리호(1970년)와 남. 서해안의 이상고조현상. 한국해양학회지, 6(2), 92-98
  12. Aanderaa, 1997, Wave and Tidal Recorder (WTR-9) Operatuing Manual. Technical Description No. 194
  13. Oh, l.S. and Kim, S.l., 1990,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strom surges in the seas around Korea. Journal of Oceanographical Society of Korea, 25 (4), 161-181
  14. Redfield A.C. and Miller, A.R. 1957, Water levels acopmpanying Atlantic coast hurricanes. Meteorological Monographs. 2 (10), 1-23
  15. WMO, 1996,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6th edition, No.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