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복간섭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강우량 변화분석

Analysis of Rainfall Change at Seoul City by Applying Multiple Intervention Model

  • 김응석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정호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무종 (한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발행 : 2004.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67년부터 1996년까지 30년간의 서울시 자료를 이용하여 엘니뇨현상과 월 강우량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에서는 간섭모형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월 강우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현재까지의 엘니뇨의 발생시기를 추정하기 어려운 이유로 간섭의 시점을 기존의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1972년 1976년, 1979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1991년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엘니뇨의 효과는 서울시 월 강우량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엘니뇨의 영향은 월 강우량을 기준으로 최고 53.4mm에서 최저 2.5mm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엘니뇨의 영향을 고려할 때 서울시의 발생가능한 자연적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수자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l Nino phenomena and the monthly rainfall variations of Seoul city which is composed of 30 year data during $1967{\sim}1996$. In this study, the monthly rainfall data at Seoul city is analyzed by applying an intervention model. As it is unavailable to get the data of El Nino phenomena, the point of intervention have been decid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of the data observed to be the years of 1972, 1976, 1979, 1982, 1986 and 1991. As a results the El Nino was revealed more significant to the monthly rainfall at Seoul. In addition, monthly rainfall varied between the maximum 53.41mm and the minimum 2.50mm. To prevented future natural disaster, long term water planning and management is requied in consideration El $Nin\tilde{o}$.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식 (1998)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변동의 관련성. 한국기상학회지, 제34권, 제3호, pp. 390-396
  2. 강인식, 이양미, 안순일 (1995) 서태평양 지역에서 태풍활동의 경년변화와 엘니뇨. 한국기상학회지, 제31권, 제1호, pp. 15-26
  3. 김형수, 안재현, 강두선 (2000) 엘니뇨/남방진동(ENSO) 지수의 모형 및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3권, 제1호, pp. 1-25
  4. 신현석, 안재현, 윤용남 (1999) 엘니뇨와 우리나라 강수량의 시.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9권 제ll-1호, pp. 1-12
  5. 이동률 (1988). 엘니뇨 및 라니냐와 한국의 기온 및 강수량 관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1권, 제6호, pp. 807 ~819
  6.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a)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 1. 연/월 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2권, 제6호, pp. 617-625
  7.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b)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 2.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일가수량 분석의 변화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제32권,제6호,pp. 627-636
  8. 내무부 중앙 재해 대책 본부 (1998) 재해 극복 30년사
  9. Box GEP., and Tiao, G.C. (1975) Interven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to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 J.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70, No. 349, pp. 70-79
  10. Chu, P.S.(1995) Hawaii Rainfall Anomalies and El $Nin{\"{O}}$. J. of Climate. Vol. 8, No. 6, pp. 1697-1703 https://doi.org/10.1175/1520-0442(1995)008<1697:HRAAEN>2.0.CO;2
  11. Hipel K.W., Lennox, W.C., Unny. T.E., and Mcleod, A.I. (1975) Intervention analysis in water resour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1, No. 6, pp. 855-861
  12. Ropelewski, C.F. and M.S. Halpert (1987) Global and regional scale precipit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El $Nin{\"{O}}$/Southern Ocillation.' Mon. Wea. Rev., 115, pp. 1606-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