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School Students' Ideas and Analysis of Responses Types to Alternative Hypotheses about Cause of Dinosaur Extinction

공룡의 멸종 원인에 대한 고등학생의 생각과 대안적 가설에 대한 반응 유형 분석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ideas related with dinosaur extinction, to classify students' responses types with alternative hypotheses of inconsistent with their ideas, and then to examine their cognitive conflict levels and the degree of ideas change. To investigate students' ideas, we analyzed responses 98 eleventh graders of a high school in Anyan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a large scale asteroid impact with the cause of dinosaur extinction, and rest of them responded changed Earth's climate accompanying tectonic activity, extreme volcanic activity, shortage of food, disease(virus) and decrease of their habitat. Also, they thought that dinosaur was exterminated not by just one reason but by several complex reasons. Second, the students' responses of alternative hypothes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rejection, reinterpretation, uncertainty, belief decrease, partial theory change, and theory change. Third, except rejection and reinterpretation types, other four types were arousing of cognitive conflict and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felt cognitive conflict was 62.3% and that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theory change was just 6.1 %.

이 연구의 목적은 공룡 멸종 원인이라는 소재로 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고, 이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 대안적 가설을 제시하여 반응 유형을 분류하고 인지갈등과 개념 변화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18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개념을 알아보고, 이 중 개념에 대한 신뢰 정도가 높게 나타난 9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안적 가설을 제시한 후, 반응 유형 검사지를 이용하여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룡 멸종 원인으로 대규모 운석 충돌이 가장 많았으며, 지각 변동에 의한 기후 변화(기온저하), 대규모 화산 분출, 먹이 부족, 질병(바이러스), 서식지 감소 순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공룡 멸종은 단순히 한 가지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멸종하였다고 생각하고 있다. 둘째, 대안적 가설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거부, 재해석, 판단 불확실, 신뢰 감소, 부분적 이론 변화, 이론 변화 등 6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거부와 재해석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은 인지갈등이 유발된 것으로 분류하였으며, 전체적으로 62.3%가 인지갈등이 유발되어 6.1%의 개념 변화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신숙희, 노태희(2002). 변칙사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반응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52-260
  2. 김범기, 권재술(1995). 과학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72-486
  3. 김선영, 정 철, 정진우(2002). 공룡의 멸종 관련 불일치 자료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23(7), 543-551
  4. 김익균(1997). 꼬마전구 실험에서 자신의 생각과 불일치하는 실험결과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 물리교육, 15(2), 88-99
  5. 김지나, 이경호, 권재술(2000). 갈등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물리 개념 변화 유형. 새물리, 40, 84-93
  6. 노태희, 임희연, 강석진(2000a). 변칙 사례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88-296
  7. 노태희, 임희연, 강석진(2000b). 성과 나이에 따른 인지갈등 유발 및 개념 변화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34-641
  8. 노태희, 정은희, 강석진, 한재영(2002a). 개념학습에서 변칙사례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86-594
  9. 노태희, 김순주, 강석진, 김재현(2002b). 밀도 학습에서 변칙사례의 제시 방식과 권위 수준이 인지 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95-603
  10. 박종원, 장병기, 윤혜경, 박승재(1993). 중학생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증거 명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135-145
  11. 박종원, 김익균, 이무, 김명환(1998). 학생 선개념을 지지하는 증거와 반증하는 증거에 대한 학생의 반응.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83-296
  12. 백성혜, 김혜경, 채우기, 권 균, 노태희(1999).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05-314
  13. 정진우(1991). 중학교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오개념의 형성원인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2(4), 304-322
  14. Alvarez, W., & Asaro, F.(1990). An extraterrestrial impact. Scientific American, 263(4), 44-52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1090-44
  15. Appleton, K.(1997). Analysis and description of students' learning during science classes using a constructivist-based model. Joum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3), 303-31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3)34:3<303::AID-TEA6>3.0.CO;2-W
  16. Chan, C., Burtis, J., & Bereiter, C.(1997). Knowledge building as a mediator of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Cognition and Instruction, 15(1), 1-40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501_1
  17. Chinn, C. A., & Brewer, W. F.(1993).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knowledge acquisiti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science inst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1), 1-49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1001
  18. Chinn, C. A., & Brewer, W. F.(1998a). An empirical test of a taxonomy of responses to anomalous data in science. Joum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23-65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23::AID-TEA3>3.0.CO;2-O
  19. Chinn, C. A., & Brewer, W. F.(1998b). Theories of knowledge acquistion. In B. J. Fraser, & K. 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97-113).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Courtillot, V. E.(1990). A volcanic eruption. Scientific American, 263(4), 53-60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1290-53
  21.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5),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22. Hynd, C. R., McWhorter, J. Y.. Phares, V. L., & Suttles, C. W.(1994). And others the role of instructional variables in conceptual change in high school physics top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33-946 https://doi.org/10.1002/tea.3660310908
  23. Koslowski, B.(1996). Theory and evidence: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Cambridge, MA: MIT Press
  24. Limon, M.(2001). On the cognitive conflict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A critical appraisal. In L. Mason, Instructional practices for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domains [Special issue], Learning and Instruction, 11(4-5), 357-380 https://doi.org/10.1016/S0959-4752(00)00037-2
  25. Mason, L.(2001). Responses to anomalous data on controversial topics and theory change. Learning and Instruction, 11, 453-483 https://doi.org/10.1016/S0959-4752(00)00042-6
  26. McLean, D.(1999). Dinosaur extinction: The volcanogreenhouse theory. http://filebox.vt.edu/artsci/geology/mclean/Dinosaur_Volcano_Extinction/index.html
  27. Pintrich, P. R., Marx, R. W., & Boyle, R. A.(1993). Beyond cold conceptual change: The role of motivational beliefs and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2), 167-199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2167
  28.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29. Shepardson, D. P., & Moje, E. B.(1999).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restructuring fourth graders'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electric circui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 77-94.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840
  30. Thagard, P.(1992). Conceptual revolutio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