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Veget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revegetation of abandoned coal mine lands in Borim, Sungwon, Hyeopjeong, Daedong and at a control site in Taebaek. The upper layer of the control site consists of 7 species and the Importance Value was highest for Pinus densijlora, but there were no species in the four abandoned coal mines. The number of dominant species in the middle layer of each coal mine site was 2 for Borim, 2 for Sungwon, 3 for Hyeopjeong and 2 for Daedong. In the case of the lower layer in Borim, Sungwon, Hyeopjeong and Daedong, there were 12, 14, 9 and 8 species, respectively. The lower level importance values were highest for Pinus densiflora in Borim, for Amorpha fruticosa in Sungwon and for Rubus crataegifolius in the Hyeopjeong and Daedong coal mines. Weigela subsessilis, R. crataegifolius, P. densiflora,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tephanandra incisa, Lespedeza crytobotrya and A. fruticosa appeared in the lower layers of abandoned coal mines. Species diversity of the lower and the herbaceous layers ranged from 0.800 to 0.952 and 0.699 to 0.907 in abandoned coal mines. Evenness and dominance in all abandoned coal mines ranged from 0.840 to 0.949 and 0.051 to 0.160.
본 연구는 폐탄광지의 식생복원에 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보림탄광, 성원탄광, 협정탄광, 대동탄광의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상층의 경우 대조구는 1종류가 출현하였으며 소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나 4개 폐탄광지에서는 상층을 형성하는 수종이 없었다. 중층은 보림탄광 3종류, 성원탄광 2종류, 협정탄광 3종류, 대동탄광 2종류가 출현하였다. 하층은 보림탄광 12종류, 성원탄광 14종류, 협정탄광 9종류, 대동탄광은 8종류. 대조구는 9종류가 출현하였다 보림탄광은 소나무, 성원탄광은 족제비싸리, 협정탄광과 대동탄광은 산딸기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다. 4개 폐탄광지 중 3개 이상 조사지의 하층에서 출현한 식물은 병꽃나무, 산딸기, 소나무, 자작나무, 국수나무, 참바리, 족제비싸리 등 7개 수종이었다. 하층의 종다양도는 대조구는 0.606으로 나타났으며, 4개 폐탄광지는 0.800-0.952의 종다양도를 나타내었다. 하층의 균재도와 우점도는 대조구가 각각 0.473과 0.527로 나타났으며, 4개 조사지는 각각 0.840∼0.886 과 0.051∼0.160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