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지추론을 이용한 신호교차로에서의 포화차두시간 분석

An Analysis of Saturation Headwa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by Using Fuzzy Inference

  • 김경환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환경및지역발전연구소) ;
  • 하만복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강덕호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발행 : 2004.02.28

초록

신호 교차로에서 포화차두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는 도로조건, 교통조건, 환경조건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관계가 포화차두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포화교통류율은 이상적인 조건일 때의 포화차두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해서 기본 포화교통류율을 구하고, 여기에 좌 우회전, 차로폭, 경사, 중차량 보정계수을 고려함으로써 특정 차로군의 포화교통류율을 산정하고 있다. 포화차두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에서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인자 즉, 퍼지적 성격을 가진 인자들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퍼지 근사추론 방법을 이용하여 정성적 인자의 영향을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강우조건과 주변밝기의 정도, 중차량 구성비의 언어적 표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해서 퍼지집합의 멤버쉽함수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교차로에서 각 조건별로 포화차두시간을 관측하였다. 이러한 현장 관측치를 바탕으로 퍼지 제어규칙을 설정하고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평가는 추론치와 실측치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 졌으며, 결정계수인 $R^2$와 평균절대오차(MAE)와 평균제곱오차(MSE)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본 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강우에 의한 교통용량 감소는 중차량 구성비가 클수록 주변밝기의 정도가 나쁠수록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감소율은 5.3%에서 21.8%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값을 보였고. 주변밝기 정도에 따른 교통용량 감소는 4.7$\sim$7.5% 수준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건교부(1992), '도로용량편람 연구조사 제 3단계중간 보고서',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교통개발 연구원,pp.6.1-6.81
  2. 건교부(2001), '도로용량편람', 사단법인 대한교통학회
  3. 기상청(1997),예보업무편람
  4. 김용석(1994), '포화구간설정 및 포화 교통류율 변화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정수.윤영선.박종호.고기영 공저(2001), '건축 조명 계획론', 광문각
  6. 도철웅(2001), '교통공학 원론(上)', 청문각
  7. 박성현(1998), '현대 실험 계획법' 민영사
  8. 오영태.심대영(1992), '도시부 신호 교차로의 기본용량 및 기하구조 보정계수', 대한교통학회지 제10권 제2호,대한교통학회,pp.5-24
  9. 유지성.오창수 공저(1999), '현대 통계학',박영사
  10. 윤혜림 譯(2002),'그림으로 해설한 조명 실무디자인' 성안당
  11. 이광용.오길록 공저(1997),'퍼지이론 및 응용 I, II', 홍릉과학 출판사
  12. 이승화(1989), '교차로 용량분석을 위한 교통류 특성 기초조사', 대한교통학회지 제7권 제2호 pp.89-111
  13. Al-Ghamdi A. S.(1978), 'Entering Headway for through Movement at Urban Signalized Intersections', TRR, pp.42-47
  14. Berry D. and P. Gandhi(1973), 'Headway Approach to Intersection Capacity' , Highway Res, 453, pp.65-61
  15. Branston D.(1979). 'Some Factors Affection the Capacity of Signalized Intersections',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Vol. 20, pp.390-396
  16. Hines J. W.(1997), 'Matlab Supplement to Fuzzy and Neural Approaches in Engineerin', John Wiley & Sons, Inc.
  17. Lee J. and R. L. Chen(1986), 'Entering Headwa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Small Metropolitan Area' TRR 1091, pp.117-126
  18. McSHane W. R., R. P. Roess and E. S. Prassas(1998), 'Traffic Engineering', Prentice Hall, p.579
  19. Teodorovic D. and K. Vukadinovic(1998), 'Traffic Control and Transport Planning: A Fuzzy Sets and Neural Networks Approach', Kluwer Academy Publishers
  2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00), 'Highway Capacity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