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changes of retail environment and general merchandise retail structur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ince e distribution market open. At the interval of five years (1996~2001) the rapid increase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have had a profound impacts on the retail structure and the spatial retail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has increased in the retail structure. Second, each business type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has taken different growth pattern, which has been distributed differently. Third, the establishment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is on the decrease, the annual sale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is one increase. Moreover the hightest sale region is changed from old-town to new-town. Many more variables like assortment of goods according to the locality should be reflected in the following spatial retail struc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유통시장 개방 시기를 전후하여 일어난 소매환경 변화에 따른 대전광역시(이하, 대전시)의 소매업 변화와 그 결과 달라진 종합소매점들의 공간구조를 고찰하였다. 유통시장 완전개방이후 본격화된 국내 대형할인점 성장으로 소매업 구조와 소매공간구조가 달라졌으며, 1996년과 2001년을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할인점의 성장에 따라 소매업 내 종합소매점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둘째, 종합소매업 각 업태들은 차별적인 성장 패턴을 보이고 있다. 셋째, 종합소매업의 업체수는 뚜렷한 집중지역은 나타나지 않지만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하였고. 매출액은 원도심에서 신도심으로 그 중심이 바뀌었을 뿐 아니라 그 규모도 증가하였다. 차후소매공간구조 연구에서는 지역성에 따른 상품구색과 같은 보다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