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언어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necessity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To fulfil purposes, the following studies were carried out: (1) The necessity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as reviewed based on the social, educational and personal aspect. (2) The concept of verbal talent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verbal talent, we called a person who has a high level of language intelligence a verbal talent. Or verbal talent can also be a person who accomplished a high level in anyone area among reading, writing, hearing, speaking, and foreign language. (3) The present condition and research states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ere analyzed. (4) The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ere proposed.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영재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고 있는 언어 영재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시도로써 이루어졌다. 과학 문명의 발전을 위해 과학 영재교육이 필요하다면, 인류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영재교육이 골고루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언어가 주가 되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우리의 문화, 예술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언어 영재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준비로서 현재 우리나라 언어 영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언어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탐색하여, 언어 영재교육의 내실화를 기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언어 영재교육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언어 영재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변화시켜 언어 영재 교육의 필요성을 깨닫도록 해야 하며, 언어 영재에 관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여 언어 영재성 및 특성을 이해할 수 있어야하며, 언어 영재와 기타 다른 영역의 영재들을 위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희(2001). 언어 영재와 일반 아동의 작문에 나타나는 이야기 구조와 언어적 창의성의 발달 및 차이.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 김흥원, 조석희, 김민수(2002). 인문.사회 영재 판별도구 개발 연구(II)-언어 영재 판별검사 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남승인, (2002). 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수학교육학술지, 제7집, 75-88
  4. 류지영, (2003). 효과적인 초등학교 영재교육을 위한 심화학습 프로그램의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1(3), 433-452
  5. 박경숙, 오영주(1997). 언어 영재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박성식(2003), 영재교육의 발전역사와 의의. 박성익 외. 영재교육학 원론, 13-48. 서울: 교육과학사
  7. 박성익, 조석희(1996). 과학영재교수법. 대전: 한국과학재단
  8. 박영목(2002). 독서교육연구에 있어서의 사회. 문화적 접근. 독서연구, 제7호
  9.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오승현(2002). 영재교육 세부 실천방안-영재교육종합계획(안),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안) 수립을 위한 공청회자료, 한국교육개발원
  11. 우한용(1998). 창작교육의 이념과 지향. 문학교육학. 2, 221-251
  12. 이병진 편역 (1992). 초등교육원리. 서울: 문음사
  13. 이순영(2002). 언어영재의 개념과 언어영재 교육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문헌연구. 석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4. 전경원(2000).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15. 노석희(2003), 언어 영재. 박성익 외. 영재교육학 원론, 367-405. 서울: 교육과학사
  16. 조석희, 김홍원, 박성익, 정현철(2002).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 수립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조석희, 박경숙, 김흥원, 김명숙, 윤지숙(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연수자료
  18. 최관영(2003). 고등학교 일반 영재를 위한 국어과 영재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19. 최현섭, 최명환, 노명완, 신헌재, 박인기, 김창원, 최영환(1999). 국어교육학개론. 서울: 삼지원
  20. 헤럴드경제 2004 2. 21일자 연예 기사: 천만관객 신기록 달성
  21. Bromley, K. (1988). Language arts. Boston, MA: Allyn and Bacon
  22. DeHann, R. F., & Kough, J. (1956). Identify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23. Feldhusen, J., Asher, J., & Hoover, S. (1984). Problems in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alent, or ability. Gifted Child Quarterly, 28(4), 149-151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402
  24. Feldman, D. H. (1986). Nature's gambit. New York: Basic Books
  25. Fox, L. H., & Durden, W. G. (1982). Educating verbally gifted youth Fastback 176. Bloomington, Indiana: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26. Gagne, F. (1991). Toward a differentiated model of giftedness and talent. In N.. Colangelo, & G. A. Davis (1991). Handbook of gifted education(pp.65-80). Boston: Allyn and Bacon
  27.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8. Manson, J. (1984). Gifted education: believing in miracles. Utah Schools, May
  29. Michael, L. S. (1958). Secondary-school programs. In N. B. Henry(Ed) , Education for the gifted. 57th year books. Part II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Michael, L. S. (1958). Secondary-school programs. In N. B. Henry(Ed), Education for the gifted. 57th year books. Part II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Olszewski-Kubilius, P. & Whalen, S. P. (2000).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verbally talented.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pp. 397-411). Kidington, UK: Elsevier
  32. Piirto, J. (1992). Understanding those who create. Dayton, OH: Ohio Psychology Press
  33. Rose, M (1988). Narrowing the mind and the page: Remedial writers and cognitive reductionism.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39, 267-286 https://doi.org/10.2307/357468
  34. Stanley, J. C., Keating, D. P., & Fox, L. H. (Eds.) (1974). Mathematical talent: Discovery, description, and deve Zopment(pp 23-46).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5. Sternberg, R. J., & Williams, W. M. (2002). Educational psychology. Boston: Allyn and Bacon
  36. Tannenbaum, A. J. (1986).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Macmillan
  37. Thompson, M. C. (1996). Formal language study for gifted students. In J. VanTassel-Baska, D. T. Johnson & L. Neal Boyce (Eds.), Developing verbal talent: Ideas and strategies for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p. 149-173). Needham Hts., MA: Allyn & Bacon
  38. Treffinger, D. J. (1986), Fostering effective, independent learning through individualized programming. In J. S. Renzulli(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9. VanTassel-Baska, J, Johnson, D. T., & Boyce, L. N. (1996). Developing verbal talens.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40. Vygotsky, L.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